저금리 기조, 부동산 침체, 증시 부진 등 악재가 겹치면서 자금의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경기회복 전망이 뚜렷하지 않아 당분간 부동자금이 줄어들기는 어려워 보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 등은 18일 지난해 12월 말 현재 단기성 부동자금은 총 666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중 현금 44조1,738억원, 요구불예금 112조6,77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313조1,598억원, 머니마켓펀드(MMF) 45조7,635억원, 양도성예금증서 20조3,372억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36조2,036억원, 환매조건부채권(RP) 6조9,287억원 등의 단기성 자금이 579조2,436억원에 달했다. MMF 수치 등은 정부와 비거주자 보유분 등을 뺀 것이다.
여기에다 6개월 미만 정기예금(70조440억원)과 증권사 투자자예탁금(17조750억원)을 합하면 시중에 대기 중인 단기 부동자금이 총 666조3,626억원에 이른다.
단기 부동자금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몰아 닥친 2008년 말 540조원에서 2009년 말 647조원으로 급증한 뒤 2010년 말 653조원, 2011년 말 650조원으로 증감을 반복하다가 작년 말에는 666조원으로 늘었다.
이처럼 단기 부동자금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며 마땅한 투자처가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15일 기준으로 국내 16개 은행의 1년 만기 38개 정기예금상품의 평균 금리는 연 3.0%다.
부동산 시장은 정부가 그동안 각종 부양정책을 내놓았지만 활성화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지난해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은 전년보다 3.0% 줄었고 서울은 2.9% 감소했다. 서울에서도 강남의 주택매매가격이 3.5% 줄었고 강북은 2.3% 감소했다.
여기에 국내 증시도 엔화 약세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글로벌 증시와 달리 홀로 소외되고 있어 코스피가 당분간 2,000포인트 안팎의 박스권에 묶여 있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