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맞춤아기' 또 다시 논란

美 의사 "2010년이면 성별·눈색깔 마음대로 선택 할수있다"

맞춤아기는 당초 자녀의 희귀 유전질환 치료, 그리고 염색체 이상 부부나 유전질환이 있는 가계의 세대 간 유전질환 전이를 막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 것이다.


다른 인간을 위한 도구나 욕망으로서 최적화된 인간을 생산한다는 것이 윤리적으로 용납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최근 아기의 성별은 물론 눈 색깔까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다는 한 미국 의사의 발언으로 맞춤아기 논란에 다시 불이 붙었다. 물론 과거에도 희귀 유전질환이나 혈액질환을 앓고 있는 자녀를 치료하기 위해 유전형질이 같은 맞춤아기를 만들어낸 적이 있다. 하지만 유전형질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다는 이 의사의 발언을 확대 해석해보면 아인슈타인의 두뇌와 아널드 슈워제네거의 근육, 그리고 장동건의 얼굴을 가진 슈퍼 베이비의 출산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연 가능한 얘기일까. 미국의 인공수정 전문의 제프리 스타인버그 박사는 지난 3월 "내년이 되면 태어나는 아기의 성별을 100% 결정할 수 있으며 눈 색깔은 80%의 정확성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진정한 의미의 맞춤아기가 가능하다는 것. 사실 맞춤아기란 정식 학술용어가 아니다. 이는 대중과학 및 생명윤리 관련 문건에서 주로 사용하는 말로 유전자 기술을 사용, 원하는 대로 선택 및 재조합된 유전형질을 지닌 아기를 말한다. ■ 치료 목적에서 출발한 맞춤아기
스타인버그 박사의 언급으로 재차 조명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맞춤아기로 볼 수 있는 최초의 아기가 태어난 것은 의외로 오래전 일이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난 남자 아기 '아담'이 주인공. 최초 맞춤아기 2000년 美서 치료목적 태어났지만
"우수한 두뇌·근육 슈퍼 베이비도 가능" 파문 확산
콜로라도주 잉글우드에 사는 내시 부부는 1999년 딸 몰리가 선천성 골수 결핍증인 팬코니 빈혈증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질환을 치료하려면 유전형질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골수를 이식 받아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8~9세가 되면 죽는다. 내시 부부는 자신들의 골수나 줄기세포를 이식하려고 했지만 유전형질이 맞지 않았다. 딸의 치료를 위한 아기를 얻기 위해 일반적인 출산을 하려고 해도 같은 질병을 가진 아기를 출산할 확률이 25%나 됐다. 결국 이들은 이 질환에 걸리지 않고 딸의 세포조직이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유전형질을 지닌 배아를 선택, 출산하기로 결심했다. 이 부부는 아내, 즉 몰리 어머니의 난자 12개를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다음 여기서 얻은 배아 가운데 딸과 동일한 유전형질을 가진 건강한 배아를 골라 임신, 2000년 8월29일 아담을 출산했다. 그리고 아담의 탯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 몰리의 골수에 주입했다. 아담의 줄기세포는 몰리의 골수에 이식된 지 3주일 만에 혈소판과 백혈구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몰리의 생명을 구하게 된 것. 이처럼 맞춤아기는 원래 희귀 유전질환이나 혈액질환을 앓고 있는 자녀를 치료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즉 자녀의 세포조직과 완전히 일치하지만 질병 유전자가 없는 배아를 골라 임신, 줄기세포를 제공할 아기를 낳는 것. 하지만 스타인버그 박사는 단순히 질병 없는 아기뿐 아니라 부모가 원하는 성별, 더 나아가 이런저런 외모적 특성을 가진 아기까지 골라 낳을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이는 받아들이기에 따라 아인슈타인의 두뇌와 아널드 슈워제네거의 근육, 그리고 장동건의 얼굴을 가진 슈퍼 베이비를 낳을 수도 있다는 뜻으로 확대 해석될 수 있기에 적지 않은 파문을 몰고 왔다. ■ 착상 전 유전자 진단법의 용도
2000년 맞춤아기를 만들어낸 핵심기술은 착상 전 유전자 진단법(PGD)이었다. 스타인버그 박사도 PGD를 기반으로 성별은 물론 눈 색깔까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PGD란 정자와 난자를 체외 수정시켜 얻은 수정란을 자궁에 착상시키기 전 유전자 정보를 검사하는 기술. 수정란을 3일 정도 배양해 배아세포가 6~10개에 이르렀을 때 1~2개를 떼어내 유전자 정보를 검사, 수정란에 난치성 유전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알아낸 후 건강한 수정란만 착상시키는 것. PGD는 1990년대 초반 미국 세인트존스대학 출신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인 마크 휴즈 박사가 낭포성 섬유증, 뒤센 근위축증, 선종성 폴립증 등의 난치성 유전질환 전이를 막기 위해 개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주로 염색체 이상이 있는 부부, 유전질환이 있는 가계, 그리고 습관성 유산 여성 등에게 선택적으로 시행됐다. 염색체 이상이 있는 부부가 임신을 하게 되면 유산 확률이 높아 습관성 유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임신이 진행돼도 기형아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 유전질환 부부 역시 태아가 유전질환을 가질 가능성이 25∼50%나 돼 임신 중기에 유산을 시켜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PGD를 통해 정상아를 임신하면 유산율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산모의 심리적 불안감도 줄일 수 있다. 다만 착상 전 배아상태 및 질환 유무를 진단하려면 반드시 체외수정을 해야 한다. 또한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만 검사하기 때문에 유전자 이외의 환경요인이나 원인불명으로 발생하는 기형아는 예방할 수 없다. ■ 맞춤아기를 낳기 위한 대전제
PGD를 통해 성별과 눈 색깔, 심지어는 지능이나 외모까지 선택한 맞춤아기를 낳으려면 다음과 같은 대전제를 해결해야 한다. 우선 인간 유전자에 대한 완벽한 분석과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즉 어떤 유전자가 어떤 방식으로 어떤 형질을 발현시키는지 완벽히 알아야 한다는 얘기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은 2000년 인간 게놈 해독이 거의 완료됐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이는 염기의 서열만 알게 된 것으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이 알려진 것은 많지 않다. 여러 가지 유전질환의 경우에도 원인 유전자가 알려진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예를 들어 유전성이 30~50%로 알려진 고혈압 유전자도 아직 연구 단계일 뿐이다. 더욱이 피부색이나 눈 색깔 등의 유전형질, 더 나아가 지능이나 외모 등 복합적인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는 더더욱 밝혀져 있지 않다. PGD가 난치성 유전질환을 막는 데 유효한 것도 원인 유전자가 어떤 것인지 일부 밝혀졌기 때문이지 유전자와의 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유전질환이라면 막아낼 수 없다. 유전자 완벽한 이해·적은 난자 수 문제 등 선결 과제
도구적 차원'인간 생산' 윤리적 용납 여부도 미지수
진정한 의미의 맞춤아기를 낳으려면 여러 수정란 중에 원하는 유전형질을 모두 갖춘 수정란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이 생산할 수 있는 난자의 수는 매우 적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한다면 수정란의 유전자를 조작하지 않는 한 까다로운 주문에 맞출 수 있는 수정란이 나올 확률은 낮아진다. 여기에 낮은 임신 성공률까지 더해지면 맞춤아기를 태어나게 할 확률은 더욱 줄어든다. 당장 맞춤아기가 아닌 어떠한 조건도 달지 않은 일반적인 시험관 아기의 경우만 하더라도 임신 성공률은 40% 정도에 불과하다. ■ 난자 세포핵 이식 요법의 함정
맞춤아기를 낳을 수 있는 기술은 또 있다. 바로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질환을 막기 위해 개발된 난자 세포핵 이식 요법. 일반적으로 미토콘드리아는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이며 인간의 경우 난자 세포질을 통해 모계로만 유전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에 이상이 있는 여성의 난자 세포핵을 떼어내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갖춘 여성의 난자 세포질에 이식해 수정시키면 이론상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갖춘 수정란을 얻게 된다. 미토콘드리아의 DNA는 노화 관련 질병, 당뇨병, 파킨슨병, 생식력, 심지어는 지능과 연관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각에서는 난자 세포핵 이식을 통해 지능과 수명이 극대화되고 질환 발병 위험이 최소화된 맞춤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 역시 실현되려면 난관이 많다. 그동안의 미토콘드리아 연구에 따르면 하나가 좋으면 반드시 하나가 나쁘다. 즉 열대지방 사람들의 미토콘드리아는 기후에 맞게 열을 덜 발산하지만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다. 또한 높은 지능에 관련된 미토콘드리아는 심장마비를 일으킬 확률이 높다. 모든 유전형질이 뛰어난 미토콘드리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특히 이식된 난자 세포핵 DNA 암호와 세포질의 미토콘드리아 DNA 암호가 호환되지 않을 경우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은 오히려 20배나 높아진다. 바로 이 같은 상황에서 스타인버그 박사는 80%의 확률로 아기의 눈 색깔까지 결정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물론 미래의 언젠가는 맞춤아기와 관련한 기술적 제약들이 모두 제거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다른 인간을 위한 도구나 욕망으로서 최적화된 인간을 '생산'한다는 것이 윤리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