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우리금융 민영화·외환銀 매각 등 표류… 금융 '4대 천왕'은 靜中動

< 4대 천왕:강만수·어윤대·김승유·이팔성 >

(좌부터)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 이팔성 우리금융그룹 회장,


우리금융그룹 민영화 입찰,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 등 대형 이슈가 잇따라 표류하면서 명실상부 금융시장을 쥐락펴락하는 대형 지주회사 회장, 이른바 '4대 천황'의 기상도 역시 달라지고 있다. 물론 우리금융 민영화에서 산은이 배제된 후에도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 등 '빅4'를 이끌고 있는 회장들의 움직임이 확연하게 변한 것은 없다. 하지만 '정중동'이라고 할까. 물밑에서는 새로운 전략을 만드는 모습이 여실하다. ◇주연 탈락 위기에 고심하는 강만수=우리금융 인수전에서 탈락한 강 회장은 금융재편의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밀려날 위기다. 하지만 '노회한' 강 회장이 이대로 물러날 리 없다. 강 회장이 우리금융 인수전에서 탈락되는 '굴욕'을 당한 순간에도 기업은행을 인수합병(M&A)의 후보로 꼽은 것은 그가 생각하는 반전 드라마의 일단을 보여준다. 산은은 이 밖에도 우체국ㆍ농협 등과의 M&A를 인수합병의 가능한 시나리오로 생각하고 있다. 무엇보다 금세 끝날 듯하던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 작업이 꼬이면서 산은의 진로 또한 당장이라도 달라질 수 있다. 산은 관계자는 "산은 민영화를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외형의 변화가 필수적"이라며 "정권 말이라는 개념을 과도하게 적용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물론 강 회장이 꿈꾸는 시나리오를 현실화하는 길은 너무 험하다. 외환이나 기업은행도 그렇지만 우체국 역시 금융위원회 산하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소관 정부중앙 부처 간 조율 등이 이뤄지지 않으면 산은금융이 품기 어렵다. 농협도 정부 내부 역할이나 정치적 구도로 볼 때 산은금융이 넘보기 쉽지 않다. ◇'새 판의 새 주연', 부상하는 어윤대=어 회장의 입지는 '산은ㆍ우리금융' 메가뱅크론 불발로 한층 부각되고 있다. KB금융은 타이밍이 맞지 않아 입찰 참여를 망설여왔다. 하반기 중 국민은행이 보유한 KB금융 자사주 매각 이슈를 먼저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험을 감수하기 어렵다. 어 회장이 금융사 M&A를 시도할 수 있는 타이밍으로 꼽는 것은 자사주 문제 등을 푼 뒤인 오는 연말 이후. 산은금융 배제로 입찰이 흐지부지 유찰될 경우 연말 이후로 타이밍을 재고 있는 KB금융에도 기회가 올 수 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KB의 모습을 주목하라. 산은의 탈락 이후 전략을 새롭게 짜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언제든 우리금융 등의 주역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역시 넘어야 할 산은 적지 않다. M&A를 할 경우 대규모 점포ㆍ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해 노조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 ◇반전의 히든카드 김승유=금융권이 KB금융 못지 않게 주시하는 변수는 하나금융이다. 김 회장은 현재 외환은행 인수계약 연장에 총력을 쏟고 있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가격ㆍ연장기간 등 큰 틀에서는 협상 상대방인 론스타 측과 합의를 본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약의 세부사안을 놓고 막판 합의가 지연되자 일각에서는 김 회장이 우리금융 인수전으로 눈을 돌리는 것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 경우 '우리금융-하나금융' '산은금융-외환은행'의 짝짓기를 상정해볼 수 있다. ◇다시 기 펴는 이팔성=이 회장은 16일 주당 1만2,950원에 자사주 3,000주를 취득, 기존까지 합쳐 총 5만3,000주를 보유하게 됐다. 이 회장은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7번이나 자사주를 사들이며 독자생존의 제스처를 보여왔다. 산은지주 탈락 이후 자신이 다시 주도권을 갖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물론 정부로서는 아직 우리금융 독자생존론을 선호하지 않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예보가 우리금융 지분 57% 중 27%는 블록세일과 같은 방식으로 분산 매각하고 경영권 확보를 위한 나머지 30%만 일괄로 떠넘기는 대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올 정도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