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건조한 가을엔 '추조병' 조심

이종훈 원장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바람이 불면서 대기가 건조해지고 있다. 피부가 거칠어졌다며 실내 가습기를 틀거나 여름 내 잘 쓰지 않았던 영양크림을 다시 꺼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건조함은 비단 피부뿐 아니라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존재가 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가을 기운이 쌀쌀하고 매섭다 하여 숙살지기(肅殺之氣)라고 한다. 무시무시한 살(殺)자를 쓴 것은 말 그대로 생명이 시들어간다는 뜻이다. 건조한 가을은 윤택한 물기가 있어야 사는 생명에 고통스러운 시간이다. 사람도 가을의 기운을 비켜갈 수는 없다. 건조한 가을 기운으로 생기는 질병을 한의학에서는 '추조병(秋燥病)'이라 한다. 추조병에 걸리면 입이나 코ㆍ목이 마르고 피부가 건조해지며 초기 감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공통적인 특징이다. 추조병의 대표적인 예로는 가을ㆍ겨울형 아토피가 있다. 아토피는 여름형과 가을ㆍ겨울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여름형 아토피는 덥고 습할 때 증상이 심해지고 땀띠를 동반한다. 반면 가을ㆍ겨울형 아토피는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증상이 악화되는데 몸이 가렵고 피부가 건조해지며 각질이 일어나는 특징이 있다. 몸 속 진액(수분)이 말라 피부에까지 영향을 끼친다면 변비 증상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변이 딱딱하게 굳어 배변이 어렵고 2~3일에 한번씩 변을 보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생지황ㆍ현삼ㆍ맥문동 같은 한약재를 써 부족한 진액을 보충해주면 변비도 낫고 피부도 좋아지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가을ㆍ겨울형 비염은 찬기운만 돌면 바로 심해진다. 재채기를 자주 하고 맑은 콧물이 쏟아지며 묽은 가래가 생기는 등의 특징이 있다. 코 점막 부위에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콧속이 잘 붓고 코막힘이 반복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소청룡탕같이 찬 기운을 풀어주는 처방을 해서 다스린다. 가을철에는 '건조한 기운'이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건조한 기운은 양조(凉燥ㆍ차고 건조한 기운)와 온조(溫燥ㆍ덥고 건조한 기운)로 나눌 수 있다. 계절의 흐름상 가을철에는 보통 서늘한 기운이 병을 만든다고 생각하는데 서늘한 기운이 더운 기운으로 바뀌면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몸 속에 들어온 찬 기운이 풀리지 않고 뭉치면서 점차 열로 변하는 것이다. 사람이 기가 막히면 가슴이 답답하고 점차 화병으로 발전하는 예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런 증상은 체질적으로 열이 많은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부적절한 식생활과 운동부족도 영향을 미친다. 양조로 인한 감기는 오한이 발열보다 심하고 맑은 가래를 동반한 기침 증상 위주인 반면 온조로 인한 감기는 발열이 오한보다 심하고 얕은 기침을 하며 진한 가래가 생긴다. 한방에서는 양조로 인한 감기에 행소산과 폐의 가래를 없애주는 반하ㆍ진피 같은 한약재를 처방하며 온조로 인한 감기에는 열을 풀고 진액을 생성하는 상행탕ㆍ청조구폐탕 등을 처방한다. 가을철 건조한 기운은 피부와 폐ㆍ호흡기를 말리고 원활한 신진대사를 방해한다. 평소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하며 실내에서는 가습기를 틀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등 '몸 속 보습'에도 신경을 써야 건강한 가을을 보낼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