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 등장한 '희망수량 경쟁입찰'은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팔 수 있는 만큼'이라도 우리은행의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금융은 지난 2010년 병행매각을 시작으로 2011년과 2012년에는 일괄매각을 추진했지만 번번이 불발됐다. 지난해부터 우리금융의 매각 방식을 분리매각으로 바꿔 계열사를 쪼개 팔기로 한 뒤 구체적으로 우리은행을 희망수량 경쟁입찰로 팔겠다는 뜻을 이번에 밝힌 셈이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대주주단은 국민연금에 국내 대형 은행 같은 금융사와 재무적 투자자 등이 더해진 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한 전력이 있는 새마을금고는 이번 민영화 작업에 관심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의 경우 최근 인수합병(M&A)에 번번이 실패한 까닭에 우리은행에는 들어올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고 시장에서는 보고 있다.
◇자갈돌 주주 구조 갖출 듯=희망수량 경쟁입찰은 일괄매각과 분산매각의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론상으로는 입찰 결과에 따라 일괄매각이 될 수도 있고 분산매각이 될 수도 있다. 특정 입찰자가 매우 높은 가격을 써낼 경우 지분을 통으로 인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지분 5~10%를 갖춘 다수의 주주가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토론회에서도 국민연금 같은 연기금에 국내외 사모펀드, 글로벌 금융사 등을 주주 구성안으로 제시했다.
실제 희망수량 경쟁입찰이 이뤄지면 0.5~1% 정도의 최소 입찰물량이 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소 지분제한이 없으면 주주가 난립할 수 있는데다 절차상으로도 복잡해지는 탓이다. 반대로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통해 일정 지분 이상을 갖게 되면 일반 인수작업과 동일하게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만 한다. 동일인은 10%, 비금융주력자는 4% 초과시 승인을 받도록 돼 있다.
◇일괄매각 현실성 적고 국민주·블록세일 힘들어=이날 토론회에서 희망수량 경쟁입찰이 유력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은 그동안 나왔던 방법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경영권 지분 일괄매각 방식은 국내 대형 금융지주사를 빼고는 사실상 실제 인수 가능한 주체가 없다. 그러나 현재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사실상 실패 확률이 높다.
분산매각 방식의 하나인 국민주 방식은 지분이 완전 분산 매각되면서 책임경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소유 및 지배구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블록세일은 한번에 대량의 주식을 팔 수는 있지만 투자자를 다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금융연구원의 설명이다.
처음부터 지배지분을 우량투자자에게 분산 매각해 5~10개의 대주주 그룹을 형성하는 과점주주 매각은 컨소시엄 참여자 간 의결권 공동행사 약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은행산업의 수익성이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다수의 과점적 투자자를 확보하는 게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국민연금·국내외 대형 펀드 참여 가능성…4~5개 과점주주 형태 갈듯=금융권에서는 이번 인수전에 국민연금과 국내외의 대형펀드와 국내 대형은행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사, 대형 사모펀드(PEF) 등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어 이들이 적정 지분을 인수하게 되면 사실상 4~5개 과점 주주가 은행을 지배하는 형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중 참여가 가장 확실한 곳은 새마을금고다. 앞서 새마을금고가 우리금융 인수전에 뛰어든 적도 있고 최근에는 '한국판 도이치뱅크'를 롤모델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 경영권을 한번에 다 인수하지는 못하더라도 은행 경영에 참여해 영역을 넓히겠다는 게 새마을금고 측의 구상이다. 다만 정부가 새마을금고의 참여를 허용하겠느냐는 문제가 남아있다. 금융당국의 고위관계자는 "국내 은행 정도 되면 모를까 2금융권에 은행을 넘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특히 새마을금고는 기본적으로 협동조합인데 협동조합의 기본 역할을 잊은 채 몸집만 확대하려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KB도 직간접적으로 우리은행 인수전에 뛰어들지 않겠느냐고 보고 있다. 당국 입장에서는 연기금과 재무적 투자자들에게 우리은행을 판다고 해도 이 중 은행 수준의 전업 금융사가 들어가야 뒤탈이 생기지 않는다. 외환은행의 후유증으로 정부가 비금융주력자나 사모펀드에 은행을 절대로 팔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 때문에 KB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KB금융은 우리투자증권 인수전에서 고배를 마셨고 최근 몇 년간 ING생명 등 인수합병(M&A)에 성공한 건이 하나도 없다. 그만큼 자금 여력은 상대적으로 있는 편이다. 특히 최근 카드사 개인고객 정보유출 문제로 대규모 징계가 걸려 있는 상황이어서 정부 시책에 어느 정도 협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해석도 금융권에서는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