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기업 구조조정 '이제 시작이다'

기업 구조조정 '이제 시작이다' 한달여에 걸친 부실판정 작업은 `내용(퇴출규모)'에 관계없이 금융시장의 잠재 불안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무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정부가 부실판정에 앞서 내세웠던 모토는 `살릴 기업은 확실히 살리고 죽일 기업은 확실히 죽인다'는 것. 정부는 이에 맞게 50개 기업을 정리대상으로 꼽았고, 회생가능성이 없는 워크아웃과 법정관리 기업 상당수를 퇴출범주에 넣었다. 겉포장만 화려했던 지난 98년 1차 부실기업 퇴출발표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보다 클린화한 시장분위기 속에서 왜곡된 금융시장의 구조를 변환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물론 이번 부실판정작업을 마냥 긍정적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대마(大馬)'가 퇴출된 것은 동아건설 한 곳 뿐이었고, 판정작업의 잣대였던 현대건설의 생사는 어정쩡한 상황에서 막을 내렸다. 정부의 `클린의지'가 사회ㆍ경제적 파장 앞에서 잠시 멈칫한 셈이다. ◇잠재부실 솎아낸 것은 10%= 정부는 당초 시장내 부실징후기업중 회생이 불가능한 기업을 퇴출대상으로 삼았다. 이럴 경우 대상은 불과 150여개에 불과했다. 그러던 게 시간이 흐르면서 워크아웃과 법정관리ㆍ화의기업, 심지어 여신총액 500억원 미만의 `피라미'까지 포함시켜 총 대상은 287개로 늘어났다. 이 참에 시장의 악성종양과 같았던 부실 워크아웃 기업과 법정관리 기업들을 한꺼번에 솎아내기로 한 것. 이번 부실판정 작업에서 솎아낸 잠재부실은 전체 대상의 10%. 287개 평가대상중 법정관리와 청산대상인 29개다. 매각대상 20개와 합병사는 퇴출이라기 보다는 `정리대상'에 가깝다. 매각대상에는 대우계열 10개사가 포함됐다. 평가결과를 들여다보면 결론적으론 큰 기업들은 대부분 살려두고, 퇴출기업 상당수가 법정관리ㆍ화의 기업들이 포함됐다. 정상기업중 죽은 곳은 10여개에 불과했다. 부실판정작업이 `숫자놀음'으로 변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부분이다. ◇관심끄는 기업들 대부분 생환= 평가대상중 시장의 관심을 끌었던 기업은 대략 7~8개. 이 중 대부분이 살아남았다. 조양상선ㆍ성신양회ㆍ갑을 등이 대표적. 채권단은 막판까지 이들 기업의 생사를 놓고 진통을 거듭했다. 그러나 업종특성 등을 감안하고, 영업이익이 나고 있어 생존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특징적인 것은 퇴출기업 상당부분이 건설업종이라는 것. 동아건설을 비롯, 법정관리기업중 청산쪽으로 잡힌 기업 상당수가 건설업이었다. ◇부실기업들의 앞날은= 1ㆍ2등급에 포함된 163개 기업은 종전과 달라질게 없다. 일시적 유동성 문제로 2등급에 포함된 28개 기업에 대해선 상시적인 운전자금 지원이 이뤄진다. 문제는 3등급. 이중 이른바 3A에 포함된 71개 기업은 구조적 유동성 문제가 있지만, 주채권은행이 `책임지고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살아남았다. 이들에 대해선 신규자금 지원 등에 모든 생존의 책임을 주채권은행이 지기로 했다. 3B에 포함된 51개 기업중 청산대상 19개는 채권단의 여신중단조치와 동시에 파산신청이 이뤄진다. 법정관리 9개 기업에 대해선 채무동결과 함께 출자전환 등이 진행된다. 정상기업이 법정관리로 변한 기업은 대주주의 경영권이 박탈된다. 이와 함께 은행권의 이번 판정대상과 별도로 10개 부실기업을 자체 정리할 방침이다. ◇생존기업, 앞으로 일주일이 또 고비= 이번에 생존판정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살아남는 것은 아니다. 은행권은 4일부터 2금융권이 참여하는 확대채권단회의를 갖는다. 마지막 시험이다. 여기서 통과해야 완벽한 생존을 보장받는다. 특히 3A(구조적문제가 있지만 주채권은행이 책임지고 살릴기업으로 분류된 기업들중 2금융권 여신과 회사채가 많은 기업들의 통과여부가 미지수다. 정부는 이 같은 모든 작업은 연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연말 구조조정 마무리의 변수는 바로 3A에 속한 기업에 대한 2금융권의 협조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김영기기자 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11/03 16:30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