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가 '해양에너지 사업'의 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다. 21일 인천시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신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시행을 앞두고 대형 발전사들이 인천시 강화군과 옹진군 덕적도 인근 인천 앞바다에 조력ㆍ조류ㆍ풍력ㆍ태양력 등을 이용한 시설건립계획을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현재 인천 앞바다에는 인천만조력(한국수력원자력ㆍ1,320MW)을 비롯해 강화조력(한국중부발전ㆍ420MW), 덕적조류(한국남동발전ㆍ200MW), 무의도 해상풍력(한국남동발전ㆍ97.5MW), 소야도 에코아일랜드(한국중부발전ㆍ포스코파워 등 5개 발전사) 등의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들 사업 대부분은 발전사들이 수천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야 하는 민간투자개발방식으로 추진된다. 인천시는 이들 발전소가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총발전 규모만 2,037.5MW로 수도권 소비전력의 12.5%를 생산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대형 발전사들이 막대한 사업비를 투입해 인천 앞바다에서 해양 에너지 사업을 시작하려는 것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신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도입 때문이다. 이 제도에 따르면 일정규모 이상의 전기를 생산해서 공급하는 발전사업자는 매년 2%의 발전량을 신 재생 에너지 원으로 대체해 공급하도록 돼 있다. 대형발전사들은 이 의무할당량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채우기 위한 방법으로 인천앞바다의 조력ㆍ조류ㆍ해상풍력사업을 꼽고 있다. 육지에서 할 수 있는 풍력과 태양력 등은 날씨에 따라 발전량 등이 일정하지 않고 발전량도 적은데 비해 조력과 조류는 발전량이 일정하고 전력 생산규모 또한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인천 앞바다는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 발전설비 비용도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해양연구원 관계자는"신 재생에너지의 생산량과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육지보다는 해양 쪽이 유리하다"면서 "결국 국내에서 해양에너지 사업을 할 만한 곳은 조석간만의 차가 큰 인천 앞바다로 압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요한 것은 해양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인천 앞바다를 이용해 각 발전사가 신 재생에너지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느냐의 여부다. 신 재생에너지 사업과 관련해 국내 기술력은 선진국 수준의 20% 밖에 안된다는 게 업계의 견해다. 전문가들은 조력이나 조류 등 신 재생 에너지는 기존 화력발전소의 송전선로가 아닌 새로운 선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기술력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시민단체들은 갯벌 파괴 등 환경문제를 비롯해 부풀려진 경제성도 정부와 인천시 등이 다시 한번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