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몽유도원도에 담긴 안평대군 삶과 꿈

■ 사라진 몽유도원도를 찾아서/ 김경임 지음, 산처럼 펴냄


"이 세상 어느 곳을 도원으로 꿈꾸었나? 산관야복(山冠野服) 은자의 옷차림새 아직도 눈에 선하거늘, 그림으로 그려놓고 보니 참으로 좋은 일이려니. 여러 천년을 이대로 전해지기를 헤아려보는구나."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은 19세이던 1437년 어느 봄날 꿈 속에서 무릉도원을 보고 당시 최고의 산수화가인 안견을 불러 이를 그리게 한다. 안견이 단 사흘 만에 그려온 것이 중국 동진시대 시인 도연명이 노래한 '도화원기(桃花源記)' 속 세상, 그곳을 꿈 속에 거닌 풍경이었다. 삼 년여 지난 겨울밤 안평대군은 그림을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라 이름 붙이고 이 글을 얹었다. 수천년 길이 전해지기를 기대하면서.

요절한 숙부 성녕대군의 후사를 이으며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은 안평대군은 어린 나이에 많은 문객을 거느리며 풍류를 즐겼다. 그 자신도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능했고, 특히나 원나라 조맹부의 글씨인 송설체로 이름을 날렸다. 중국에서 사신이 오면 반드시 그의 글을 얻어가려 애쓸 정도였다. 또 그림을 보는 안목과 관심도 남달라, 동진ㆍ당ㆍ송ㆍ원ㆍ일본 등에서 최고 화가 35명의 작품 222점을 모은 수집가였다.

하지만 '몽유도원도'가 그려진 지 채 20년이 지나지 않아 안평대군도 그림도 조선에서는 흔적조차 없는 신세가 된다. 서른 다섯이 되던 해 둘째형인 수양대군이 그와 김종서의 반역을 핑계로 쿠데타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안평대군은 형의 회유에도 불구하고 죽음을 택한다. 직계가족은 노비가 되거나 죽고, 무덤도 기록도 모두 없는 신세가 된다. 그의 컬렉션은 모두 타거나 사라지고, 단 한 점 '몽유도원도'만 남았다. 그것도 흘러흘러 먼 타국 일본 땅에서.



평생 외교관으로 근무해왔고 현재 대학 강단에 서고 있는 저자는 지난 2009년 국내로 잠시 들어온 '몽유도원도'를 보며 오래 미뤄온 이 책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단순히 그림이 일본에 넘어간 경위를 따라갔지만 곧 안평대군의 삶과 꿈에 눈을 돌리게 된다. 그리고는 이 그림이 '조선의 수성(守成)이라는 대업에 참여한 왕자가 자신의 천명을 보았던 한 편의 꿈을 기록한 그림과 문서'라고 결론 내린다. 2만2,000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