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년간 신흥 개도국을 중심으로 건설업체들의 해외 부동산 개발이 급증한 가운데 이들 국가의 경제가 부진의 늪에 빠져들면서 해외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해외 PF는 부실화될 경우 자금을 빌려준 금융기관도 적잖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고 전체 금융시장 불안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확한 실태파악과 사전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금융감독 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제1금융권 PF 대출액 47조원 가운데 5~6%인 2조~3조원이 해외 부동산 PF로 추정됐다. 또 증권ㆍ보험사 등도 해외 부동산 개발사업에 투자해왔던 점을 감안할 때 전체 해외 부동산 PF 대출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들 해외 부동산 PF는 국내 건설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했던 베트남ㆍ카자흐스탄ㆍ캄보디아 등 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신흥 개도국에 집중돼 있다.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2007년 해외 부동산 투자(개발) 규모는 16억8,000만달러로 전년의 7억9,000만달러에 비해 112.8% 증가했다. 지난해 투자의 41%인 6억9,000만달러가 이들 3개 개도국에 몰려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이들 지역의 경기침체로 부동산 시장도 악화되면서 해외 PF 부실로 연결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중앙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A건설사의 경우 아파트 분양 부진 등으로 자금난을 겪자 최근 높은 이자로 4,000억원가량의 PF를 추가로 일으켰다. 인근 지역에 진출한 B건설도 분양률이 20~30%에 그치면서 상당한 자금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체의 한 관계자는 “은행이 해외 PF 자금을 회수할 경우 건설업체 부도로 연결될 수 있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추가 대출을 해주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금융감독원 등에서 해외 PF 자료를 받아 분석한 배영식 한나라당 의원은 농협ㆍ우리은행 등만 해도 불투명한 해외 PF로 5,000억원가량의 자금이 묶여 있는 등 국내 부동산 PF에 비해 해외 PF의 부실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주장했다. 한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는 “2~3년 동안 건설업체들이 해외 개발사업에 많이 뛰어들었는데 세계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꺾이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해외 PF 부실화가 불기피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해외건설협회 등에 따르면 올 들어서도 5월 말까지 PF 방식의 해외 개발사업이 총 25억달러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