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황교수 2005년 이전 연구 의혹도 '눈덩이'
입력2005-12-19 12:33:44
수정
2005.12.19 12:33:44
황교수 2005년 이전 연구 의혹도 '눈덩이'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관련기사
서울대, 황 교수 수의대 연구실 폐쇄
"황우석 복제 개 연구도 3-4곳 의혹"
"미즈메디 줄기세포 황교수팀에 2차례 전달"
커지는 곰팡이 오염사고 의혹
전례없는 복제 스캔들로 사이언스 흔들
황우석 교수의 2005년도 사이언스 논문 조작여부에 대한 서울대의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같은 저널의 2004년 논문과 복제개 스너피 등 황 교수의 이전 연구에 대해서도 의혹이 쇄도하고 있다.
19일 이공계 연구자 커뮤니티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와 한국과학기술인연합 등에 따르면 2004년 논문은 2005년 연구와 마찬가지로 일정 상 줄기세포를 너무빠른 시간에 기른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황 교수팀은 이 논문을 2003년 12월9일 사이언스측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 교수는 한편 2004년 6월7일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2003년 (가을) 예기치 않는 실험실 정전으로 줄기세포의 전단계인 세포덩어리(콜론)이 2개만 남고 모두 죽어버렸다"고 밝혔다.
황 교수의 말에 따른다면 연구팀은 그해 가을 콜론 2개만 남은 상태에서 12월까지 줄기세포주의 수립을 마친 뒤 논문을 제출한 것이 된다. 체세포를 복제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까지 통상 4∼5개월이 걸리는데 비하면 급속도로 세포주 수립을 끝낸것이다.
황 교수는 2005년도 논문에서도 오염사고로 줄기세포주 2개를 제외한 모든 세포를 잃은 뒤 2개월 가량의 짧은 기간에 6개 라인을 더 만들어 논문을 냈다고 말한바 있다.
게다가 2004년 논문의 줄기세포 사진이 같은 해 11월 김선종 연구원 등 미즈메디 병원 연구팀이 스템셀(Stemcells) 지에 낸 논문의 사진과 동일하다는 지적도 나와 논문에 대한 의혹이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세계 최초의 체세포 복제개로 관심을 모았던 스너피도 의심스러운 구석이 있다는 것이 일부 연구자들의 주장. 이들은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관련 논문이보고서 형태로 지나치게 단순하고 검증 자료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BRIC의 한 회원은 "체세포 공여 개와 스너피간의 DNA가 일치한다는 자료도 논문에는 DNA 핑거프린트가 아니라 단순한 도표(table)만 있다"며 "이 정도 자료만 제시한다면 논문의 신뢰성에 확신을 갖기가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가 최초로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된 계기인 복제 젖소 `영롱이'는아예 해당 연구결과를 따져볼 수 있는 논문 자체가 없다.
황 교수측은 논문은 준비했지만 이미 유사한 내용이 발표가 된 상황이라 게재계획을 취소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영롱이가 99년 탄생한 이래 별다른 병치례 없이 자라 새끼까지 낳았다는 사실은 의혹을 더욱 부채질하는 대목. 복제 동물은 일반 개체보다 허약해 수명이 짧고 생식능력을 못가지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황 교수의 연구 의혹을 취재하던 MBC PD수첩 측은 영롱이와 체세포 제공 소와의DNA 일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황 교수팀으로부터 샘플을 확보했으나 자체 검사 결과가 `DNA 판독 불가'로 나와 더 이상의 검증을 하지 못했다.
황 교수의 또 다른 복제소인 한우 `진이'도 영롱이처럼 관련 논문이 발표된 바가 없다.
입력시간 : 2005/12/19 12:33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