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2금융권도 가세… 수익 악화 부메랑 우려

■ 출혈경쟁 치닫는 재형저축<br>이틀 만에 50만 계좌 개설… 부동자금 블랙홀 양상까지<br>영업기반 약한 저축은행 등 울며 겨자먹기식 금리경쟁<br>국세청 "편법증여 색출할 것"


서민층의 절세상품 가입 욕구와 수신 기반이 약해진 은행의 절박함이 재형저축을 띄우고 있다. 재형저축이 정처 없이 떠돌던 시중자금의 블랙홀로 자리잡는 양상이다. 문제는 그 와중에 은행들의 금리경쟁이 과열되고 있다는 점이다.

저금리와 금융소득종합과세 강화에 따른 자금 유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은행 입장을 감안하면 이해 못할 바도 아니다. 7년간 자금을 묶어놓는 재형저축을 통해 수수료 수익도 내고 다른 금융상품도 판매하는 등 파생영업이 무궁무진한 탓이다.

하지만 돈 굴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에서 자칫 수신 확대가 수익성 악화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특히 재형저축이 서민층 자금을 대거 쓸어 담으면서 안 그래도 영업 기반이 흔들리고 있는 저축은행은 더 난감한 입장이 됐다.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금리경쟁에 뛰어들어야 할 판이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은 과열경쟁을 좌시하지 않을 방침이지만 한편으로는 저축률 제고에 신경 쓰고 있어 얼마나 적극적으로 나설지 의문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재형저축 판매 이튿날인 7일에도 각 은행의 지점들은 생기가 돌았다.

18년 만에 부활된 재형저축과 관련한 전화 문의가 빗발쳤고 가입하기 위해 방문한 고객도 많았기 때문이다. 첫날과 달라진 점이라면 소득확인증명서를 떼지 않고 방문한 고객이 거의 없었다는 점. 언론보도가 잦았고 은행도 안내에 적극적으로 나선 효과인 듯 보였다.

KB국민은행 여의도지점 관계자는 "오늘은 서류 준비를 잘해 오신 분이 대부분이었다"며 "국세청에서 발급하는 소득확인증명서 외에 임시방편으로 회사에서 뗄 수 있는 근로소득원천징수 서류로도 소득 증빙이 되도록 해줬는데 고객들이 어떻게 알고 준비해왔더라"고 귀띔했다. 기업은행 PB고객부의 한 관계자는 "눈덩이 효과를 조금씩 체감할 정도로 관련 문의가 많다"고 전했다. 이날 금리를 전격적으로 인상한 외환은행 지점에도 관련 뉴스를 접하고 문의하는 고객들로 붐볐다.

은행들이 금리로 선수를 치고 나오는 통에 다급해진 것은 제2금융권이다.



저축은행은 재형저축 금리를 적어도 은행 수준에 맞춘다는 복안이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수익 포트폴리오가 변변치 않은 상황에서 금리를 높이려다 보니 무리가 있다. 그래도 여력이 되는 곳은 손놓고 있을 수는 없어 고민이 깊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처럼 방카슈랑스나 펀드 등을 함께 판매할 수도 없다"며 "고금리로 자금을 유치해봤자 딱히 운용할 곳이 없어 4.3%에서 ±0.2% 내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과 우체국은 5%에 가까운 금리를 제시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 경우 시중은행 간 금리경쟁이 우체국 등의 가세로 한층 가열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보험사들은 비슷한 기능을 갖고 있는 저축성보험이 있어 재형저축에 별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다. 당국은 재형저축 판매를 두고 불완전판매나 구속성예금(꺾기)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하지만 금융계 일각에서는 당국이 판매 현황을 생중계하듯 공개하는 것을 두고 말들이 많다. 가입계좌 공개가 오히려 재형저축 가입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금감원은 전날 하루 16개 은행에서 판매된 재형저축 계좌는 총 27만9,180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가입금액으로는 198억원에 이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