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의 핵심은 우리은행을 빨리 시장에 돌려주려는 거예요. 분리매각을 선택한 것도 그 때문 아닙니까. 증권이나 지방은행 처리도 근본 목적을 생각하면 됩니다."
수화기 너머로 들리는 금융권 고위관계자의 목소리에는 답답함이 묻어났다. 최근 우리금융 민영화를 둘러싼 잡음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당장 24일 우리투자증권 매각 문제를 다룰 우리금융지주 이사회가 다시 열리지만 증권사에 자산운용·저축은행·생명보험을 '1+3' 형태로 묶어서 팔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주장은 언뜻 보면 맞다. 국민의 세금이 들어간 곳에 최대한 이익을 남겨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우리금융은 정부가 너무 오래 쥐고 있었다. 은행만 놓고 보면 국유화된 지 15년이다. 우리금융이 정치화되고 금융사로서의 경쟁력이 날로 떨어지고 있는 것은 상당 부분 이 때문이다. 금융 당국의 관계자들도 "미국이나 유럽은 금융사에 공적자금을 넣어도 최대한 빨리 털고 나온다"며 "공적자금은 불 끄는 데 쓰는 것"이라고 할 정도다.
회수 극대화의 함정에 빠지면 우투증권 매각도 어찌될지 모른다. 우투증권 처리가 삐걱대면 지방은행이나 우리은행 매각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판이 흔들리는 셈이다.
우리금융의 민영화는 더 늦출 수 없다. 비용 측면만 봐도 그동안 우리금융 지분 부분매각을 통해 회수한 것보다 예보채 이자로 나간 돈이 더 많다.
되는 대로 계열사들을 마구 팔아치우라는 말은 아니다. 빨리 팔되 원칙에 맞춰 적정한 대상에 매각해야 한다. 우투증권 패키지는 패키지에 가장 높은 가격을 써내는 곳에 사실상 우선권을 주게 돼 있다. 23일 본입찰을 마감한 지방은행도 큰 틀에서는 마찬가지다.
지금의 매각방식이 100%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빠른 민영화를 위한 방안이라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논리는 우리금융의 뒷다리를 잡을 수 있고 실제 그래왔다. 이제는 우리금융을 시장에 돌려줘야 하지 않겠는가.
/김영필 금융부 기자 susopa@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