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의 연임이 유력해지면서 우리금융 민영화 재개에 대한 이 회장의 입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큰 변수가 없다면 청와대 인사검증을 거쳐 이달 18일께 이 회장의 연임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의 대주주라는 부담이 있고 조만간 민영화 절차가 재개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경험이 있는 이 회장에게 높은 점수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이 차기 회장으로 재선임되면 지난 2001년 우리금융이 출범한 후 첫 연임 사례가 된다. 그만큼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한 이 회장의 역할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금융 민영화 어떻게=이 회장이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던 지난해와 올해의 상황이 많이 변했다. 일단 우리금융의 민영화를 컨트롤하는 금융당국의 수장인 금융위원장이 교체됐다. 시장의 상황과 금융당국의 입장이 많이 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민영화 작업이 중단된 상황이지만 금융당국의 새 수장인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에까지 속도전을 선언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계열사 분리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시장에서 투자자를 찾기 힘든 상황에서 덩치가 큰 우리금융을 한꺼번에 매각하기 쉽지 않아서다. 이런 상황에서 아직까지 민영화에 대한 이 회장의 생각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우리금융 계열사 임직원 봉사활동에서 이 회장은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블록세일이나 국민주 방식,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계열사를 다 포함한 것이 우리금융의 기업 가치"라며 "자회사를 분리매각하기보다 합해서 민영화하는 게 기업가치를 보전하고 정부가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열사 분리매각안에 대해 기존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셈이다. 정부 지분을 여러 주주에게 나눠 파는 '과점주주 분산 매각 방식'에 대한 입장도 변함 없어 보인다. 하지만 정부가 고집해온 '경영권 프리미엄'을 과감하게 포기하고 이 회장이 주장하는 과점주주 분산 매각 방식을 취할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우리금융 과점주주 컨소시엄(우리사랑·W비즈)이 유효경쟁 요건 등을 완화해주지 않으면 입찰에 불참할 것이라고 공개 선언하면서 민영화 작업이 좌초됐던 점을 감안할 때 이 회장의 '소통'노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 경영진 구성 관심=이 회장의 연임이 굳어지면서 이 회장이 새로 꾸릴 경영진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영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실적도 챙겨야 하기 때문이다. 실적이 개선돼야 주가가 높아지고 높아진 주가로 인해 매각가도 높아져 공적자금 회수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도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춰 경영진을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은 차기 회장 내정자가 확정되면 곧바로 자회사 은행장후보추천위원회(행추위)를 가동해 우리은행ㆍ경남은행ㆍ광주은행의 새 행장 후보 선임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장 후보로는 내부 출신 가운데 윤상구ㆍ김정한 우리금융 전무와 이순우 우리은행 수석 부행장이 거론되고 있다. 이병재 우리파이낸셜 사장, 김희태 우리은행 중국법인장, 김경동 전 우리금융 수석 전무도 후보군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의 경영 및 민영화 작업의 연속성 측면에서 이 회장 측근의 인물들이 중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출범 10년째를 맞는 우리금융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일부 임원들을 젊은 피로로 교체할 가능성도 높다"고 내다봤다. 정부가 속도전을 거론함에 따라 그동안 연임을 앞두고 주춤했던 해외투자가 유치에 이 회장의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지난해에도 미국 뉴욕을 방문해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과 만나 우리금융 민영화 참여 방안 등을 논의했을 정도로 해외투자가 유치에 적극적이었다. 때맞춰 블랙스톤이 연내 한국에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해 투자자금을 모집한 후 한국 지역 투자를 늘리려 한다는 점도 묘한 일체감을 보여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