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으로 밝혀져

2011년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는 암으로 불리는 악성신생물 때문에 숨지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 인혜경 연구원은 10일 세계보건기구(WHO)의 '전 세계 10대 사망원인(The top 10 causes of death)'과 우리나라 통계청의 '2011년 사망원인 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2011년에 전 세계에서 약 5,500만명이 숨졌다.

사망원인을 감염성 질환과 비(非)감염성 질환으로 나눠 봤을 때, 비감염성 질환, 즉 만성질환(Noncommunicable diseases; NCDs)이 3분의 2 정도인 66.7%(3,600만명)를 차지했다. 지난 2000년의 60%에 견줘 늘었다.

세계인의 목숨을 앗아간 주요 4대 만성질병은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암(Cancer), 당뇨(Diabetes),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s) 등이었다. 이 중에서 심혈관질환으로 약 1,700만명이 숨져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사망자 10명 중 3명꼴이다.

심혈관질환 중에서도 허혈성 심장질환(Ischaemic heart disease)으로 700만명이, 뇌졸중(Stroke)으로 620만명이 목숨을 잃었다.

다음은 하기도 감염(Lower respiratory infections)으로 320만명이,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COPD)으로 300만명가량이 세상을 떠났다.

전반적으로 감염ㆍ모성ㆍ주산기 질환(perinatal period. 신생아를 분만한 시기의 전후 기간에 발생하는 질병) 및 영양관련 질환이 전 세계 사망의 25%에 이르렀다. 부상(Injuries)은 9%로 나타났다. 특히 도로 교통사고로 전 세계에서 매일 3,500명이 생명을 잃었다. 이런 사망자 수치는 2000년과 비교해 약 700명 이상 증가한 것이다.



연령별로는 2011년에 690만명이 5세 이전에 사망했다. 이들 사망의 99%는 저·중소득국가에서 발생했다. 5세 미만 영유아의 주요 사망원인은 폐렴, 조산, 출산 시 질식, 출생 시 외상, 설사질환이었다.

모성사망은 2000년 42만명에서 2011년 28만명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약 800명의 여성이 매일 임신 및 출산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셈.

국가소득별 사망 특성도 달랐다. 고소득국가에서는 사망자 10명 중 7명이 70대 또는 그 이상의 고연령층이었다. 사망원인은 만성질환(심혈관질환, 암, 치매, 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당뇨)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저소득국가에서는 사망자 10명 중 4명이 15세 이하 어린이였다. 또 감염성 질환이 사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하기도 감염, 에이즈(HIV/AIDS), 설사질환, 말라리아, 결핵 등이 사망의 3분의 1에 달했다.

우리나라의 1위 사망원인은 암이었다. 국내 통계청의 2011년 사망원인 통계자료를 보면, 2011년 우리나라 총 사망자수는 25만7,396명(인구 10만명당 513.6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10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폐렴, 만성하기도 질환, 간 질환, 운수사고, 고혈압성 질환으로 총 사망의 70.8%를 차지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