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국민·주택銀 파업] 노·사·정 '접점 찾기' 대화나설듯

[국민·주택銀 파업] 노·사·정 '접점 찾기' 대화나설듯 국민ㆍ주택은행 파업이 다소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정부ㆍ은행 측과 노조간의 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은행 경영진 및 노조는 파업이후 물밑에서 대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서로의 입장이 완강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28일 금융총파업이 다른 은행들의 반대로 실패한데다 파업으로 인한 금융 혼란이 커지고 있어 양측은 곧 사태 수습을 위한 대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민ㆍ주택은행은 이날 절반 이상의 점포를 열고 많은 노조원들이 복귀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복귀율이 발표만큼 높지 않아 많은 지점들이 여전히 파행 운영됐다. ◇복귀율 높아졌지만 고객 불편 여전 두 은행이 전날보다 많은 점포를 열기는 했지만 상당수 지점들의 정상운영이 불가능해 고객들의 불편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은행은 28일 1만1,995명의 직원중 7,900여명이 돌아와 복귀율이 65.8%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33개의 전체 점포중 498개가 문을 열었다. 특히 주택은행은 본점 직원 2,347명중 2,112명이 복귀해 91%의 직원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국민은행도 513개 점포중 55.9%인 332개 점포가 문을 열었으며, 1만4,358명의 직원중 42%인 6,169명이 복귀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금융노조는 이 같은 발표에 대해 "복귀한 노조원들은 많지 않다"고 반박했다. 특히 두 은행의 발표는 복귀 의사만 밝히고 아직 복귀하지 않은 직원들이나 파업기간중 채용한 계약직 직원까지 포함한 것으로 보여 실제로 업무를 보고 있는 노조원들은 발표 숫자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산실 직원들도 90% 가까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어 많은 지점들이 파행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점포를 찾은 고객들의 불편은 다소 나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국민은행 명동 본점은 제 시간에 문을 열지 못했으며, 오후들어 대기인이 100여명을 훌쩍 넘어 고객들이 일을 보려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또 지점에서 전산망이 고장나는 일이 많아 업무 지체가 반복되곤 했다. 주택은행은 국민은행보다 문을 연 점포가 많고 복귀율이 높았지만 역시 상당수 지점이 파행 운영됐다. 특히 개인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은행 업무는 어느 정도 정상화됐지만 기업금융 분야는 여전히 마비 상태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기업 대출, 어음 할인, 환어음, 신용장 거래 등 기업 거래는 정규직 직원들이 돌아와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사 곧 대화 나설 듯 파업이 다소 진정 국면에 들어가고 금융노조가 추진했던 28일 금융총파업이 불발되면서 두 은행 노조와 경영진 및 정부는 곧 파업 수습을 위한 대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ㆍ주택은행 노조의 일산연수원 농성이 강제 해산된 뒤 고려대 집회가 경찰의 저지로 무산되면서 두 은행 노조는 앞으로 투쟁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 노조와 두 은행 노조원들은 이날 오전부터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시민들을 상대로 합병의 부당성과 파업 이유 등을 알리는 선전전에 나섰다. 또 서울 시내 곳곳에서도 비슷한 노숙 투쟁을 벌였다. 그러나 이런 식의 투쟁은 한계가 있는데다 28일 금융 총파업이 불발로 끝난 것이 노조의 행보를 제약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이날 전국대표자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으나 현실적으로 다른 은행들을 파업에 동참시킬 방법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특히 국민은행은 아직 많지는 않지만 업무에 복귀한 노조원들이 서서히 늘고 있고, 주택은행의 경우 상당수 노조원이 복귀해 노조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파업을 수습하기 위해 노조와 경영진이 이제 대화에 나설 때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영진과 노조 모두 파업이 길어져 예금 인출이 늘어나고 영업 기반이 붕괴된다면 모두에게 수습할 수 없는 상처가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김상훈 행장은 "농성이 해산되기 전까지 노조와 대화를 계속했으며 앞으로도 필요하면 얼마든지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측도 직원들의 복귀율이 늘어날 경우 대화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곧 연휴가 다가오고 있어 이번 파업은 올해를 넘겨 내년이 돼야 수습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게 나오고 있다. 김상연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