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28~30일 한 병원의 6인실에 입원하면서 같은 병실 환자에게 메르스를 3차 감염시킨 16번째 확진 환자의 경우 25~27일 또 다른 병원의 다인실에도 입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환자는 지난달 15~17일 메르스 최초 감염자가 입원했던 B병원의 같은 병동에 입원했다 메르스에 감염됐으며 20일부터 열감을 느꼈으나 지난달 31일에서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경기도의 한 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사망한 국내 첫 메르스 관련 사망자 역시 격리되기 전 여러 병원을 옮겨 다녔으며 25일 호흡곤란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한 후 31일 오후에서야 복지부로부터 의심환자라는 것을 연락 받은 병원이 부랴부랴 격리조치를 해 6일간 중환자실에서 다른 환자들과 함께 있었다는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들 환자는 제때 격리조치만 했어도 3차 감염 등 추가 감염자를 막을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큰 대목이다.
이처럼 보건당국의 대응이 부실하자 차라리 환자가 발생한 병원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거듭 공개불가 원칙을 밝혔다. 지역과 병원을 밝히면 주민들의 공포와 걱정을 키울 수 있고 해당 병원에 불필요한 '낙인'이 찍히면서 환자들이 내원을 꺼리는 등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보건당국은 의료진에게 제한적으로 관련 병원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격리 대상자나 밀접 접촉자, 메르스 발생 병원 방문 이력자 등이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의료진이 해당 환자의 진료·방문 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확진환자 접촉자 조회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아울러 신속한 메르스 환자 진단을 위해 희망하는 병원에 한해 메르스 진단용 시약 등을 공급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