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Relax Friday] 울릉도 해돋이

여명 뚫고 불뚝… 해를 품은 동해 수평선에 붉은 수를 놓다

내수전에서 바라보는 일출이 장관이다. 내수전은 울릉도에 들어온 개척자 김내수라는 사람의 밭이 있던 곳이라고 해 붙은 이름이다.

울릉도 성인봉이 석양과 어우러져 한 폭의 수묵화처럼 아름답다.

저동항의 아침은 오징어의 배를 가르는 작업으로 시작된다. 작업이 끝난 오징어는 바로 대나무에 꿰어 바닷바람에 말리는데 대나무를 오징어 머리 중앙에 꿰는 건 울릉도만의 특징이다.

내수전서 보는 장엄한 일출 장관
행남등대·죽도·섬목까지 한눈에

오징어 꿰기로 활기찬 저동항 아침
기기묘묘한 해안 산책로도 볼거리


1월에는 일출 여행이 제격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3월까지는 독도를 오가는 정기 배편이 없다. 가끔 부정기적으로 운항되는 배가 있을 뿐이다.

그래도 울릉도에는 독도에서 감상하지 못한 일출의 아쉬움을 달랠만한 일출 명소가 있다. 울릉도의 일출 명소로는 섬 동쪽 끝에 위치한 내수전 일출전망대를 꼽을 수 있다. 내수전 일출전망대에서는 수평선을 붉게 물들이는 장엄한 일출은 물론 저동항과 행남등대, 죽도와 섬목까지 한눈에 담을 수 있다.

울릉도 동쪽 끝인 내수전(內水田)은 울릉도 육로 관광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내수전은 울릉도에 들어온 개척자 김내수라는 사람의 밭이 있던 곳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내수전 외에도 서달래가 살던 곳이라고 해서 '서달령'이라고 하는 등 개인 이름을 딴 지명이 여럿 있다. 울릉도에는 왜구로부터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섬을 비운 조선왕조의 공도(空島) 정책이 태종 17년(1417)부터 고종 19년(1882)까지 465년간 이어지면서 19세기 말에야 개척민이 들어왔다. 내수전 일출전망대에서 섬목까지는 4.4㎞에 불과하지만 아직 도로가 개통되지 않아 차량으로는 더 나아갈 수 없다. 하지만 내수전에서 섬목을 잇는 옛길은 한 번쯤 걸어볼 만하다. 내수전에서 석포를 거쳐 섬목에 이르는 내수전 옛길은 대략 7㎞. 원시림이라 해도 손색이 없는 울창한 활엽수림과 함께하는 이 길은 울릉도의 둘레길로 통한다.

내수전 일출전망대에서 차를 돌려 나오면 동해 어업 전진기지인 저동항에 닿는다. 저동항은 1967년 어업 전진기지로 지정된 후 1979년 항만 공사가 완료된 곳으로 울릉도 오징어의 대부분이 이곳에서 유통된다. 때문에 저동항의 아침은 오징어 할복 작업으로 시작된다. 할복 작업이 끝난 오징어는 바로 대나무에 꿰어 바닷바람에 말리는데 대나무를 오징어 머리 중앙에 꿰는 건 울릉도만의 특징이다. 이를 통해 다른 지역 오징어와 울릉도 오징어를 구분할 수 있다.

저동항 방파제 앞 촛대바위는 울릉도의 또 다른 일출 명소다.

저동항에서 도동리로 접어드는 삼거리를 지나면 본격적인 육로 일주가 시작된다. 도동항이 위치한 도동리는 울릉도의 명동이라 불리는 곳이다. 울릉군 인구의 70%가 도동리를 중심으로 모여 있고 울릉군청과 독도박물관, 그리고 식당과 숙박 시설도 이곳에 집중돼 있다.

행정ㆍ산업ㆍ문화의 중심지이니만큼 도동리에는 볼거리도 많다.

도동약수공원은 도동항에서 천천히 걸어도 20여분이면 닿을 수 있다. 철분ㆍ탄산ㆍ마그네슘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도동약수는 단맛 빠진 사이다에 철분을 섞어놓은 듯한 맛이다. 안용복 장군 충혼비와 청마 유치환의 '울릉도' 시비를 둘러보고 내려오면 멋스러운 현대식 건물과 마주하는데 이곳이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영토 박물관인 독도박물관이다.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구성된 독도박물관에는 고 이종학 초대 관장이 30여년 동안 국내외에서 수집한 독도 관련 자료와 고 홍순칠 독도의용수비대장의 유품 등이 총망라돼 있다. 울릉도 개척 당시 개척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향토사료관도 한 번쯤 둘러볼 만하다.

망향봉에 위치한 독도전망대까지는 케이블카를 이용하면 된다. 케이블카 운행 시간은 오전6시30분부터 오후8시까지. 해가 짧은 겨울철에는 일출은 물론 해 질 녘 도동항을 떠나는 오징어잡이배의 모습도 감상할 수 있다. 오징어잡이배들이 줄지어 도동항을 떠나는 도동모범(道洞慕帆)은 울릉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풍경이다. 다만 겨울철에는 기상상황에 따라 케이블카 운행이 유동적이니 이용 전에 울릉군청 홈페이지(www.ulleung.go.kr)에서 운행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다.

도동항 좌우에 있는 해안 산책로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좌안이라 불리는 행남 해안 산책로는 반드시 돌아봐야 할 코스. 깎아지른 행남봉 절벽을 따라 이어지는 행남 해안 산책로는 큰 기대 없이 들어섰다가 깊은 여운과 아쉬움을 동시에 안고 돌아오는 곳이다. 오르내림이 제법이지만 발 밑에서 부서지는 파도와 기기묘묘한 해식동굴에 넋을 잃고 걷다 보면 어느새 끝자락에 닿을 정도로 절경이 펼쳐진다. 도동항에서 시작된 해안 산책로는 행남등대를 거쳐 저동항까지 이어진다. 해안 산책로는 기상 상황에 따라 출입이 통제될 수 있다.






여행수첩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울릉도 도착→독도박물관ㆍ향토사료관→독도전망대

둘째 날 : 내수전 일출전망대→저동항→통구미→삼선암→관음도



▦관련 웹사이트 주소

울릉군청 문화관광체육과 www.ulleung.go.kr/tour

대아고속해운 www.daea.com

독도박물관 www.dokdomuseum.go.kr

▦ 문의 전화

울릉군 관광안내소 054)790-6454

포항여객선터미널 054)242-5111~5

울릉여객선터미널 054)791-0801~3

▦ 대중교통 정보

배편 : 포항->울릉(도동), 포항여객선터미널에서 오전10시 출항, 세 시간 소요.

울릉(도동)->포항, 울릉여객선터미널에서 오후3시 출항, 세 시간 소요.

* 문의 : 대아고속해운 1544-5117

※동절기에는 여객선 출항 시간과 운항 여부가 해상 상태에 따라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니 출발 전 선사에 출항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주변 볼거리

성인봉ㆍ나리분지ㆍ알봉분지ㆍ봉래폭포ㆍ풍혈ㆍ태하등대ㆍ대풍감ㆍ대원사ㆍ안용복기념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