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사이다]로스쿨 재학생은 왜 자퇴서를 제출했나

전국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로스쿨) 학생들이 8일 집단 자퇴서를 제출했습니다. 청와대와 국회, 법무부 등 곳곳에서 1인 시위도 벌이고 있습니다. 전국 로스쿨 학생협의회는 전국 로스쿨 재학생 6,000여명 전원이 자퇴서를 내고 내년 1월 5회 변호사 시험과 남은 학사일정을 거부한다는 방침을 밝혔는데요. 이 같은 사태가 벌어진 것은 바로 정부가 사법고시 폐지 유예 방침을 밝힌 이후부터입니다. 법무부는 왜 사법시험을 4년 더 연장하기로 한 것인지, 로스쿨 제도 도입 이후 불거졌던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사)건을 짚어보고 (이)슈를 파악하는 (다)각도 점검 뉴스 ‘사이다’를 통해 사시존폐 논란에 대한 스스로의 입장을 정리해보시기 바랍니다.





20년만에 사시존폐론이 다시 불거진 것은 법무부가 브리핑에서 사법시험을 4년 더 연장하겠다는 방침을 공식적으로 내놓으면서 부터입니다. 지난 3일 브리핑에서 김주현 법무부 차관은 “현행법에 따르면 사법시험은 2017년 12월31일 폐지돼야 하지만 국민의 80% 이상이 로스쿨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인식 아래 사법시험 존치를 주장하고 있다”면서 사법시험을 2021년까지 더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법사위에는 사시 존치를 주장하는 6개의 변호사시험법 개정안이 발의돼 있는 만큼 법사위와 협의해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겁니다.
▶사법시험 2021년까지 4년 더 연장, 서울경제 2015/12/4

정부의 주장은 국민의 85%가 사시 존치를 찬성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2009년 로스쿨 출범 이후에도 이어졌던 갈등을 해결하기는커녕 정부가 논란만 연장시켰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사법시험 4년 더 연장] “사시 존치 찬성” 85%에… 해결책 대신 갈등·논란도 연장한 꼴, 서울경제 2015/12/4

로스쿨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15년만에 정부는 사법고시를 폐지하기로 확정했다. /그래픽=차오름인턴기자







그렇다면 로스쿨 출범 이후 불거졌던 문제점들이 도대체 무엇이었을까요.

2010년 ‘변호사 시험 합격률’을 두고 사시파와 로스쿨파가 대립합니다. 로스쿨 제도 도입 후 1년이 지난 시점입니다. 이때까지도 합격자 비율이나 합격자 수를 어떻게 정할지 전혀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문제가 된 겁니다. 여기서 합격률은 입학정원 대비 합격률, 응시자 수 대비 합격률을 의미합니다. 당시 법조계는 신규 변호사 자질 미검증 등을 이유로 입학정원 대비 50%만 합격하도록 하고 점진적으로 70%까지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로스쿨 학생들은 ‘자격시험’이라더니 또다시 ‘고시 낭인’을 양산하려 하느냐며 응시인원의 최소 80%를 주장했습니다. 결국 합격률은 75%로 절충됐습니다.
▶로스쿨 3000명 자퇴서 시위… ‘변호사시험 합격률’ 충돌, 동아일보, 2010/12/7▶로스쿨 나오면 변호사는 따논 당상, 서울경제, 2011/11/14
로스쿨 졸업생을 검사로 임용하는 문제를 두고서도 양측은 대립각을 세웠습니다. 2011년 로스쿨 1기 졸업을 앞두고 법무부 발표한 ‘사전선발’ 방식의 검사 임용 방안에 따르면 로스쿨 원장이 추천한 학생은 졸업 전 한 학기 실무교육을 거쳐 일부 검사로 임용됩니다. 이에 ‘현대판 음서제’라는 비판과 함께 사법연수원 41·42기생이 로스쿨 검사 임용 자체에 반대하는 등 집단 반발했습니다. 이후 법무부는 상위 10% 성적우수자를 검사로 임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는 4단계 평가 과정과 1년 별도 교육 과정을 거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법연수생들 이번엔 집단 성명서, 서울경제, 2011/3/4▶검사 임용 로스쿨생, 원장추천→상위10%, 서울경제, 2011/3/21▶로스쿨생, 변호사 성적 반영 않고 역량 평가·1년 교육 후 검사 임용, 서울경제, 2011/9/21



‘돈 스쿨’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로스쿨파가 사시파를 비판할 때 주로 쓰는 말이 ‘사시낭인’이라면 사시파에겐 ‘돈 스쿨’이 있습니다. 로스쿨 제도가 각계각층 전문 법조인을 양성한다는 취지와 달리 높은 학비를 낼 수 있는 학생들만 입학하면서 ‘돈 스쿨’이라는 악명을 얻고 있다는 건데요. 높은 변호사시험 합격률 또한 로스쿨 제도가 ‘현대판 음서제’로 여겨지는 이유로 꼽힙니다. 돈만 내면 변호사가 될 수 있는 지금의 제도를 보완해 경제적 약자를 위한 법조계 진출 통로가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끊임 없이 나오는데요. 그러면서 ‘사시 존치’, ‘변호사 예비시험제도 도입’ 등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는 겁니다. 그러나 로스쿨 제도가 시행된 지 불과 10년이 되지 않았고 아직 제도 자체를 평가하기엔 이르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또한 비싼 로스쿨 등록금 문제는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평가가 이르다는 의견과 장학금·학자금대출 제도 등을 보완해 해결할 수 있다는 반박도 나옵니다.
▶[이슈 인사이드] “각계각층 전문법조인 양성 취지 어긋나… 사법시험 존속해야”, 서울경제, 2012/11/12▶[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변호사 예비시험제도 도입, 서울경제, 2013/4/11
사시 폐지를 5년 앞둔 시점부터는 갈등이 좀더 심화됩니다. 2013년 사법연수원 43·44기가 로스쿨 출신과 사법고시 출신을 다르게 대우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같은 해 대한변호사협회가 사법고시 존치 입법청원을 제기했죠. 사시-로스쿨 논쟁 제2라운드가 시작된 겁니다.
▶“로스쿨출신 검사가 웬 말” 연수원생 집단 반발, 경향신문, 2013/5/23▶변협, 사시 존치 입법청원… 법조계 시끌, 한국일보, 2013/11/20▶로스쿨 ‘돈스쿨’ 논란에 사법시험 존폐론 가열, 한겨레, 2015/6/24
로스쿨생들의 즉각적인 반발에 법무부는 “최종 의견은 다른 기관 및 단체와 열린 상태에서 논의하고 검토한 후 국회 입법 과정에서 결정할 것”이라며 한 발 물러섰습니다. 하지만 다시 시작된 논쟁을 제대로 매듭짓지 않는다면 사시가 폐지될 때까지 이 같은 갈등은 반복될 것이고 법조인을 꿈꾸는 이들은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에 계속해서 부침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서은영기자·차오름인턴기자 supia927@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