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1월3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2030년까지 1,000조원의 신시장과 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를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1997년 교토 합의 이후 글로벌 기후체제의 가장 큰 변화가 예고되는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다. 박 대통령은 이어 열린 '청정에너지 혁신 미션' 출범식에 참석해 우리 에너지 신산업의 노하우를 개도국에 전수하고 녹색기후기금(GCF)이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 세계 140여국 정상과 정상급 지도자들이 참석하는 파리 기후회의에서 내놓은 박 대통령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이미 우리나라가 높은 제조업 비율에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37% 감축이라는 과감한 목표를 제시한 것은 신(新)기후체제에의 적극 동참뿐 아니라 한국의 주도적 역할을 공개적으로 선언한 것이다. 미래 '블루오션'인 에너지 신시장을 선점해나가면서 해외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의지의 반영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제조업 한국에 새로운 위기와 도전이 될 신기후체제를 활용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위기를 피할 수 없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 책임을 떠안게 되면 신재생에너지 기술투자가 급팽창할 수밖에 없다. 이번 파리 기후회의 이후 새롭게 출범하는 기후체제는 앞으로 15년간 신에너지 분야에서 12조달러가 넘는 거대 시장을 창출한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박 대통령의 신산업 진출 의욕은 평가받을 만하다. 한국 경제는 이미 스마트그리드나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주력산업이 활력을 잃어가는 한국 경제에 신에너지 산업이 새로운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전 세계 140여국 정상과 정상급 지도자들이 참석하는 파리 기후회의에서 내놓은 박 대통령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이미 우리나라가 높은 제조업 비율에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37% 감축이라는 과감한 목표를 제시한 것은 신(新)기후체제에의 적극 동참뿐 아니라 한국의 주도적 역할을 공개적으로 선언한 것이다. 미래 '블루오션'인 에너지 신시장을 선점해나가면서 해외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의지의 반영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제조업 한국에 새로운 위기와 도전이 될 신기후체제를 활용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위기를 피할 수 없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 책임을 떠안게 되면 신재생에너지 기술투자가 급팽창할 수밖에 없다. 이번 파리 기후회의 이후 새롭게 출범하는 기후체제는 앞으로 15년간 신에너지 분야에서 12조달러가 넘는 거대 시장을 창출한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박 대통령의 신산업 진출 의욕은 평가받을 만하다. 한국 경제는 이미 스마트그리드나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주력산업이 활력을 잃어가는 한국 경제에 신에너지 산업이 새로운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