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이 지난 지금은 반대로 이사회가 CEO를 제대로 견제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 등 3개 금융지주 이사회에서 총 67건의 안건 중 단 1건을 제외하고 모두 통과됐다. 이에 대해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찬성률이 압도적이어서 거수기라고 비판하는데 대부분의 사안은 다 사전조율을 거치고 다른 의견을 반영한 후에 상정하기 때문에 오해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사외이사 선임에서부터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 시스템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서울경제신문 설문 결과 이사회가 내부 견제와 외부 입김을 모두 막는 장치로 자리 잡았다는 답변은 4명 중 1명(25.4%)에 그쳤다.
현재 국내 금융지주사들은 어느 정도 제도적인 틀은 갖춰놓았고 운영상 미묘한 취약점을 개선해나가고 있다. 대부분 사외이사 추천위원회를 통해 이사를 선임하는데 KB의 경우 모든 주주가 사외이사 후보를 제안할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하는 게 바람직한 예다. KB는 사외이사 추천위원회에서 사외이사 평가를 할 때도 회장이 빠진다. 또 B금융사의 사외이사는 “제가 선임될 때 CEO와 일면식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외국계 금융사 관계자는 “절차상으로는 완벽하다고 할 수 없기는 하나 굉장히 공정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지주사들은 회장 후보군을 관리하고 회장을 추천하는 소위원회에 현직 회장은 배제하고 사외이사만 참여하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다만 이 경우 공정성은 높아질지언정 예전처럼 인사권이 이사회로 넘어가 후보군 간 줄 대기로 인해 회장의 지배력이 약화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사회는 경영진으로부터의 독립뿐 아니라 정부, 외부 낙하산으로부터도 독립성을 지켜야 한다”면서 “CEO가 인사와 경영을 해야 하는데 어느 정도 협조 가능한 전문가여야 원만하게 이뤄지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