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열린 1차 정상회담 국면에서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북중정상회담 직후 평양을 찾았다. 2차 정상회담이 오는 2월 말~3월 초로 유력하게 점쳐지는 만큼 고위급회담은 폼페이오 장관의 중동·아프리카 순방이 끝난 직후인 이달 16~19일에 열리거나 늦어도 1월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번 회담 장소는 지난해 11월18일 미국에서 진행하기로 한 고위급회담의 재개 성격인 만큼 뉴욕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간 북미가 비핵화 방식과 제재완화 등을 높고 극한 대립을 이어온 점을 볼 때 양측 간 ‘빅딜’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제재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던 트럼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몇몇 매우 확실한 증거를 얻을 때까지’라는 완곡한 표현을 쓴 것도 ‘빅딜’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북한이 핵 리스트 제출을 주권침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는 만큼 양측은 영변 핵시설 사찰 수준을 두고 세부조율에 들어갔을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경제신문 펠로(자문단)인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핵물질 시료 채취가 빠지면 북한의 핵시설 규모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완전한 북한의 비핵화 검증은 불가능해진다”고 지적했다.
북측의 주장에 의하면 김 위원장의 북미관계 개선 및 비핵화 협상 난관 우려에 대해 시 주석은 “조선(북한)이 주장하는 원칙적인 문제들은 응당한 요구이며 조선 측의 합리적인 관심사항이 마땅히 해결돼야 한다는 데 대해 전적으로 동감하며 유관 측들이 이에 대해 중시하고 타당하게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북한이 주장하는 비핵화 조치에 따른 제재완화 등 미국의 조치를 촉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비핵화 협상이 남북미중 다자구도로 전개되면 중국이 주장하는 주한미군 철수 등 미중 패권 다툼 문제까지 얽히며 협상이 더 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관련기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