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옹성 같았던 여권에서도 신한울 3·4호기 재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원전 업계가 반색하고 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재개되면 탈(脫)원전을 하더라도 업종 전환 등 출구전략을 찾기 위한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신한울 3·4호기 공사 재개 시 오는 2025년까지의 일감은 확보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원자력정책연대의 한 관계자는 16일 “신한울 3·4호기 재개 시 주기기를 만드는 두산중공업 등 대기업은 물론 부품 등을 납품하는 2,000여개의 기업이 한숨을 돌리게 된다”고 주장했다.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건설 재개가 결정된 신고리 5·6호기만으로는 업종 전환 등을 위한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뜻이다. 정범진 경희대 교수는 “두산중공업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로 현재는 일감이 많지만 2021년에는 다 소진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신한울 3·4호기 재개 시 약 4~5년의 추가 일감 확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시작된다면 완공 예상 시점인 2025년까지 일감이 확보되고 해외원전 수주를 통한 추가 일감과 업종 전환을 위한 신규 투자 등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외 수주만으로는 원전 생태계가 조기에 붕괴될 수 있다는 점도 신한울 3·4호기 재개의 필요성으로 지목된다. 김병기 한국수력원자력 노조위원장은 “국내에서 추가 건설을 해야 원전 수주전에서 명분을 갖지 않겠느냐”면서 “해외 수주를 하더라도 주기기 업체인 두산중공업 등은 살아나겠지만 보조기기 납품업체 등은 혜택을 받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기술장벽이 낮은 보조기기 등은 현지업체 물품을 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가 무산된다면 매몰 비용은 6,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한수원이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신규 원전사업 종결 방안’에 따르면 신한울 3·4호기 매몰 비용은 현재까지 계산 가능 금액만도 6,407억원에 이른다. 공사·용역비 1,368억원, 인건비·홍보비 409억원 등 이미 투입된 비용 1,777억원과 울진군에 대한 지원사업비 1,400억원, 원자로·터빈 등 주기기 사전제작비 3,230억원 등 추가 발생 예상 비용을 합친 금액이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