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보복이 금융 분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국내 금융사의 일본계 외화차입금 규모를 2주 넘게 잘못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사들이 보고한 내용 중에 허수가 있었지만 검증 절차를 소홀히 해 집계에 오류가 생겼고, 이를 나중에 확인했지만 이미 국회 등에 오류 수치를 보고한 뒤였던 것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일본의 금융보복 가능성은 낮고, 영향도 미미하다고 밝히며 오히려 언론의 과잉보도가 문제라는 식으로 언급했지만, 오류가 있는 수치를 2주간 걸러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이 불신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23일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처음 제출한 자료에는 국내 금융사의 일본계 금융사 차입금이 180억달러(약 21조원)이고, 이 중 40%가 1년 내 만기 도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본지 등이 자료를 근거해 보도하자 금융당국이 뒤늦게 수정된 수치를 제출했다. 최초 자료에는 83억달러였던 여신전문금융사의 차입금은 55억6,000만달러로 27억6,000만달러 줄었다. 무려 3조2,000억원이 과다계상됐던 것이다. 증권사 차입금도 4억8,000만달러에서 5억달러로 소폭 변화가 있었다. 김 의원실의 관계자는 “A여전사가 일본 금융사로부터 빌린 엔화를 달러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금액 단위 하나를 빠뜨려 보고한 것을 금융감독원이 22일 저녁에서야 발견하고 수정된 내용을 알려왔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이 잘못된 수치를 바탕으로 일본의 금융보복 가능성에 대응해온 꼴이 됐다. 금융당국은 이달 초부터 주요 은행들과 함께 ‘일본 수출규제 관련 금융부문 점검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금감원이 지난 22일에서야 통계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한 것은 최소 2주간 금융당국이 잘못된 수치를 바탕으로 대응책을 고민해왔다는 게 된다. 일본의 확전 가능성을 낮게 보다보니 안이하게 대응한 게 오류를 부른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김 의원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일본의 금융보복 가능성이 단 1%일 뿐이더라도 금융당국은 치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기초적인 집계 오류가 발생한 일은 두 번 다시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