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코로나19 재양성 사례가 잇따르는 것과 관련, 바이러스 재활성화나 재감염보다는 이미 죽은(불활성화된) 바이러스의 RNA가 검출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오명돈 중앙임상위 위원장(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29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감염증을 일으키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B형간염·에이즈 바이러스와 달리 (사람의 호흡기 상피세포 등) 숙주세포의 핵에 침입해 핵산(RNA·DNA)과 통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만성화하지 않는다”면서 “따라서 바이러스학적으로 재활성화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중앙임상위는 또 코로나바이러스(HCoV-229E)의 인체연구 결과나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의 동물실험 결과를 보면 첫 바이러스 감염 후 생체 내 면역력이 1년 이상 유지되므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재감염됐을 가능성도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완치로 격리해제된 263명(26일 기준)이 이후 실시한 유증자증폭(PCR) 검사에서 바이러스 RNA 유전자가 다시 검출되는 재양성 사례가 나왔다. 그동안 코로나19 환자가 PCR 검사에서 음성(바이러스 RNA 유전자 미검출)으로 판정됐다가 완치·격리해제 후 검사에서 다시 양성으로 나오면 재활성화, 재감염 또는 검사상 오류 가능성을 의심해 왔다.
오 위원장은 “코로나19 감염과 바이러스 증식은 호흡기 상피세포 내에서 발생하고 이 세포는 다른 상피세포에 비해 수명이 긴 편”이라며 “대부부의 재양성은 코로나19 완치 후 호흡기 점막에서 상피세포와 죽은 바이러스가 함께 떨어져 나와 PCR 검사상 바이러스 RNA가 검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