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5·18 광주 민주화운동 40주년…영화로 기억한다

코로나19로 올해 공식 행사 대폭 축소

서울·광주시 공동으로 온라인 영화제

영상자료원은 상암동서 무료 특별전

‘5·1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영화제-시네광주 1980’의 개막작 ‘아들의 이름으로’ 스틸컷.




광주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두고 그날의 정신을 되새기는 영화가 잇따라 무료로 공개 된다. 코로나 19의 여파로 관련한 공식 행사는 대폭 축소됐지만 역사적 의미와 진실은 잊지 말자는 뜻에서다.



■서울·광주, 기념 영화제 공동 개최

13일 영화계에 따르면 ‘5·1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영화제-시네광주 1980’이 오는 21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에서 진행된다. 코로나 19 예방과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 차원에서 오프라인에서 열리지 못하게 된 점은 아쉽긴 하지만 서울시와 광주시의 공동 주최 행사여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

두 지자체는 영화제 기간 동안 네이버TV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장·단편 한국영화 60여 편을 상영하면서 국가 폭력과 민중의 저항 사건을 돌아볼 예정이다.

영화제의 개막작은 이정국 감독, 안성기·윤유선 주연의 ‘아들의 이름으로’다. 광주시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제작을 지원한 작품으로 오는 21일 공개 된다. 이 감독은 1990년 5·18을 다룬 최초의 극장 개봉영화 ‘부활의 노래’로 데뷔했으며, 이후에도 단편영화 ‘기억하라’와 장편영화 ‘반성’ 등을 제작하며 5·18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꾸준히 보여줬다. 영화는 오늘날 우리가 5·18 민주화 운동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지를 묻는다.

5·18의 현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장·단편 영화 12편도 이번 영화제를 통해 최초 상영된다. 한국인 최초로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위로공단’으로 은사자상을 수상한 임흥순 감독을 비롯해서 김재한, 김고은, 남미숙, 이조훈, 박영이, 이정국 감독 등의 작품이 공개된다.

이미 세상에 널리 알려진 작품들도 다시 한번 선보인다. 강상우 감독 ‘김군(2018)’, 조근현 감독 ‘26년(2012)’, 오재형 감독 ‘봄날(2018)’, 장선우 감독 ‘꽃잎(1996)’, 이창동 감독 ‘박하사탕(1999)’ 등을 영화제 기간 동안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그 날의 광주처럼 국가폭력에 맞섰던 민중 항쟁을 다룬 해외 작품도 상영된다. 인도네시아 군부 정권의 대학살을 다룬 조슈아 오펜하이머 감독의 ‘침묵의 시선(The Look of Silence, 2014)’ 르완다 대량 학살 다큐멘터리인 피오트르 시플락 감독의 ‘잃어버린 얼굴들(The Faces We Lost, 2017)’ 등이 대표작이다. 하승우 영화제 책임 디렉터는 “40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5·18민주화운동은 우리에게 많은 질문을 던져준다”며 “이후 세대가 이전 세대의 역사적 트라우마의 경험을 계승하는 포스트 메모리의 관점에서 5·18을 들여다봄으로써 5·18의 현재적 의미와 영화적 기억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한국영상자료원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특별전’


이정국 감독의 ‘부활의 노래’ 스틸컷.


■영상자료원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특별전’

한국영상자료원은 오는 16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상암동 시네마테크KOFA에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공동으로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특별전을 연다. 특별전의 주제는 ‘빛나는 계절에 위대한 시민을 기억하라’이며, 이 기간 동안 5·18을 다룬 20편의 영화가 상영된다.

일본 판화 작가 도미야마 다에코가 제작한 ‘자유광주(1981)’, 김태영 감독 ‘황무지’(1988)‘는 이번에 처음 공개된다. 5·18을 소재로 한 상업영화들도 무료로 상영 된다. ‘부활의 노래(이정국·1990)’ ‘꽃잎(장선우·1996)’ ‘박하사탕(이창동·1999)’ ‘화려한 휴가’(김지훈·2007)’ ‘택시운전사(장훈·2017)’ 등이 준비돼 있다. 다만 온라인으로 1인 1매만 예매할 수 있으며, 사회적 거리 두기 차원에서 상영관 317 좌석 중 100석만 영화제에 활용된다.

영상자료원 측은 “끊임없이 기억하는 한 역사는 과거로서 머무는 것이 아닌 끊임없이 현재를 나아가게 하는 힘이 된다”며 “이번 특별전은 한 시대의 슬픔을 애도함을 넘어서, 미해결된 문제들을 풀어갈 원동력을 얻는 값진 시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