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스타일로 18평(약 60㎡) 규모 점포를 만들면, 약 3억원이 소요됩니다. ”
27일 국회에서 열린 유통정책 토론회에서 중소벤처기업부를 대표한 참석자의 말입니다. 이 담당자가 말한 아마존 스타일은 ‘아마존고’일 겁니다. 아마존고는 모바일 앱으로 자동결제 기능까지 가능한 무인점포입니다.
정부 담당자가 ‘민감한’ 비용을 이야기한 이유는 동네슈퍼의 스마트 점포화가 그만큼 어렵다는 고민 때문일 겁니다. 이 참석자는 “(무인결제시스템 등 시스템 마련을 위해) 400만원을 투자하고, 운영에 관한 교육 컨설팅 지원을 하면 500만원이면 무인점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스마트 슈퍼로 이름지은 이 점포에는 출입관리기능, 셀프계산대, CCTV 등 무인점포의 기본 요소만 담깁니다. 이렇게 아마존고 보다 비용이 덜 들면, 무인점포로서 기능을 제대로 할까요? 담당자는 “이것만으로도 안 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매장이 잘되기 위한 기반이 아직 부족해서입니다. 어떤 매장에서 왜 이 상품이 잘 팔리는지, 안 팔리는지부터 가격 정책 등을 한 데 모아 관리하는 ‘행동데이터’ 체계가 아직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이 데이터가 쌓이려면, 기초적으로 물류센터를 통해 유통되는 물류코드가 센터마다 동일해야 하는데 아직 센터 물류코드는 제각각입니다.
그동안 동네슈퍼의 스마트 점포화는 소위 밑 빠진 독의 물 붓기 같은 정책 중 하나였습니다. 중기부는 매년 현대화를 위해 80억원에서 100억원 예산을 썼습니다. 이런 정책은 약 10년 유지됐습니다. 이를 통한 성과물 중 하나가 ‘나들가게’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우리가 목표로 했던 스마트화는 안 됐고 간판을 통일하는 정도로 일단락됐다”고 씁쓸해했습니다.
중기부는 내달 하반기 3대 전략 중 하나로 소상공인 디지털화에 대한 정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그동안 대형 유통업체로부터 보호만 받으면 된다고 여겼던 동네슈퍼는 편의점 점포에도 밀린 지 오래입니다. 편의점은 2016년 3만5,819곳에서 2018년 4만2,820곳으로 연평균 약 10%씩 증가했습니다. 반면 동네슈퍼는 이 기간 5만8,972곳에서 5만1,943곳으로 해마다 6%씩 줄었습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소비 확대와 이에 따른 플랫폼 업체와 경쟁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런 동네슈퍼의 절박함은 ‘무인점포 정책’이 이번에는 큰 성과를 내야하는 이유입니다.
/양종곤기자 ggm1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