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보험공사가 국내 주요 해외시장의 수출대금 결제동향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 ‘K슈어 무역거래 결제동향’을 발간한다.
무보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 해외 바이어의 수출대금 결제 이력 빅데이터 약 270만건을 분석해 우리나라 39개 주요 수출국 내 78개 업종별 통상적 수출대금 결제조건과 연체 동향 등을 공개했다. 무보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상거래 관행이나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기업이 손쉽게 참고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마련하고자 기획됐다”고 했다.
해외 바이어의 수출대금 결제 이력은 무역보험 운영 과정에서 매년 50만건 이상 축적되는 무보의 공공데이터로, 수출기업의 정보 활용도가 높다고 판단해 개방을 결정했다. 국가와 업종별로 세분화된 수출시장별 수출대금 결제 및 연체 특성에 대한 통계정보가 대중에 공개된 것은 국내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결제방식은 무신용장 방식이 85.5%로 주를 이뤘고 바이어의 평균 결제기간은 71일, 연체율은 9.3%, 평균 연체기간은 20.8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지역이 타지역에 비해 높은 연체율(16.7~18.7%)과 긴 연체기간(23.5~29.7일)을 보였고 이들 지역의 수출대금 결제기간(77.4~90.3일)도 전체 평균(71일)보다 길었다.
바이어의 업종 기준으로는 도매업의 연체율이 제조업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고 수출대금 결제기간의 경우 신차 판매업(102.3일)과 디스플레이 제조업(101.2일)이 가장 길었다. 수출기업의 규모 기준으로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수출대금을 회수하는 기간이 더 길고 중소기업 수출건의 수출대금 연체율(27.7%)은 대기업(6.3%)의 4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무보의 한 관계자는 “수출기업은 이번 분석결과를 참고해 주력 시장의 결제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계약협상과 리스크관리 등 수출활동 전반에 걸쳐 유용한 벤치마크와 위험관리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