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5일 대의원대회에서 2021년 사업 계획을 확정했다. 모두 네 가지 계획이 발표됐지만 조직화·방송국 설립을 제외하면 사실상 ‘11월 총파업’이 전부라는 평가다. 파업의 목표가 불분명한데다 민주노총 조합원 내홍이 심해 뒷말만 무성하다.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서 원격 방식의 대의원대회를 열고 ‘2021년 사업 계획’을 의결했다. 110만 총파업 성사, 조직화 사업으로 200만 민주노총 시대 개척, 민주노총 방송국 설립 및 운영, 청년 노동자 조직 사업 등 총 네 가지 사업 계획을 밝혔다. 이날 대의원대회는 양경수 위원장 취임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정기 대회다. 사업 계획 역시 양경수 지도부의 첫 한 해 목표다.
이 가운데 200만 민주노총 시대 개척과 청년 조직 사업은 기존의 조직 사업을 유지·변형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새로운 사업은 오는 11월에 개최될 총파업과 민주노총 방송국 설립이다. 민주노총 방송국은 그동안 주류 언론이 민주노총을 왜곡 보도하고 있어 직접 소통 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30여 개 이상의 고정 프로그램을 만들어 임기 안에 민주노총 유튜브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그런데 이 역시 최근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영상 제작을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한데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민주노총의 올해 핵심 사업은 ‘총파업’ 외에는 찾기 힘들다. 올해 11월 민주노총 전체 조합원이 동시에 총파업에 참여하는 계획이다. 양 위원장은 “내년에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다”며 “11월 총파업은 위력적 투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노총 내부에서도 11월에 큰 규모의 파업을 할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파업 의제는 불평등 체제 타파, 노동법 전면 개정, 비정규직 완전 철폐로 민주노총의 기존 주장과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해 김명환 전 집행부는 ‘전태일 3법(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노조할 권리 확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이라는 정책 목표를 내세웠다.
사회적 대화를 두고 내부 갈등도 여전하다. 민주노총 지도부는 ‘원 포인트 사회적 대화’ 부결 원인에 대해 투쟁이 결여됐고 내부 소통이 부재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보건의료노조와 서비스연맹은 “중앙에서 과잉 정치화된 논의 구조를 극복하고 산업별 교섭 활성화를 하지 않으면 사회적 대화는 늘 과도한 논란에 휩싸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회적 대화가 중앙 정파의 판단에 따라 좌지우지된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변재현 기자 humblenes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