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금리가 오르고 신용대출 규제를 위한 우대금리 축소까지 겹치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은행 대출금리가 반년 만에 최대 0.6%포인트나 뛰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거나 대출 예정자의 부담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이다.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6%포인트나 높아졌다. 이 시점은 같은 해 3~5월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방어 차원에서 두 달 만에 기준 금리를 0.75%포인트(1.25→0.50%)나 크게 낮추고 은행 대출금리에도 저금리 기조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던 때였다. 신용대출 금리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는 추세다. 4대 은행의 25일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다. 최고점은 동일하지만 역시 지난해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가 6개월 사이 0.6%포인트나 뛴 데는 기본적으로 금융채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국고채 10년물 등 장기 금리가 경기 개선이나 인플레이션 기대 등을 반영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설 만큼 꽤 올랐는데, 단기물의 경우도 상승 폭이 장기물만큼은 아니지만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용대출 지표 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0.761%에서 26일 현재 0.856%로 6개월 만에 0.095%포인트 높아졌다.
신용대출 금리가 0.6%포인트 오른 것을 신용대출 지표 금리 상승 폭(0.1%포인트)으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나머지 금리 상승분은 지난해 10월 이후 금융 당국이 본격적으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 폭을 크게 줄인 영향이 크다.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지표) 금리에 거래 실적 등을 반영한 우대금리를 빼고 정해진다. 지난해 말 은행들은 신용대출 규제 수단으로서 앞다퉈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줄였다.
대출 금리 오름세는 신규 대출자뿐 아니라 기존 대출자에게도 부담이다. 실제로 최근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더뎌진 데는 증시 정체 등의 이유도 있지만 금리 상승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25일 현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35조 1,747억 원으로 지난달 말(135조 2,390억 원)보다 오히려 643억 원 줄었다.
/김현진 기자 star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