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과 SK그룹이 수소 사회 구현과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손을 잡았다. 수소전기차 공급과 활용, 충전 인프라 확대, 인천 수소 클러스터 실현 등을 위해 협력하고 최고경영자(CEO) 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했다. 두 회사가 전기차 배터리 협력에 그치지 않고 미래 성장 동력인 수소 사업 파트너십 또한 강화하며 업종 간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는 모양새다.
SK 사업 차량 1,500대 현대 수소차로 전환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은 2일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 참석 전 수소 생태계 확대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이 자리에서 “수소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저장체로도 활용할 수 있어 탄소 중립 시대의 ‘에너지 화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SK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의 생산·유통·활용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는 건전한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통한 수소 사회의 실현을 한발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오늘 체결한 인천시 수소산업기반 구축 업무 협약 및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논의되는 내용들이 더 많은 성과를 창출해서 우리나라 수소 경제가 빠르게 정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SK는 기존 석유화학과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경험과 인프라를 활용해 친환경 수소 경제 구현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그룹은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SK그룹 내 다양한 사업장에서 운영하는 차량 1,500여 대를 점진적으로 현대 수소전기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는 2022년 수소카고트럭, 2024년 수소트랙터 등 수소 상용차를 현대차그룹이 제공하고 SK그룹이 이를 활용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수소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모은다. 올해 말까지 인천·울산 지역의 물류 서비스 거점인 SK 내트럭하우스에 수소 충전소를 1기씩 세운다. 일반 소비자들과 만나는 접점인 전국 SK 주유소에 수소 충전소를 설치하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협의하기로 했다.
CEO 수소 협의체도 신설해 협력 강화
국내 기업 간 수소 사업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CEO 협의체 ‘한국판 수소위원회’도 상반기 중 신설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포스코그룹도 참여한다.
이 기구는 수소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의 모임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수소위원회에는 현재 현대차와 가스공사 등 국내 2개 기업을 비롯한 109개 회사들이 참여해 관련 기술과 제도 등을 논의하고 있다. 한국판 수소위원회에 3개 그룹뿐 아니라 다른 기업들이 연이어 가입하면 수소 사회 구현이 한층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두 그룹은 인천을 바이오·부생수소 생산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기 위한 협력에도 합의했다. 양 사 경영진 간담회 이후 현대차와 SK E&S는 인천광역시·인천서구청과 수소사업기반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협약을 통해 SK E&S는 5,000억 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3만 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한다. 액화수소 3만 톤은 수소차 넥쏘 7만 5,000대가 동시에 지구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양이다. 나무 1,200만 그루를 심는 것과 동일한 탄소 저감 효과를 내 대기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 E&S는 이곳에서 생산한 액화수소로 2023년 수도권 지역을 운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전기차 20만 대에 연료를 공급한다. SK그룹은 이를 포함해 수소 생산·유통·판매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구축에 2025년까지 총 18조 5,000억 원을 투자한다고 이날 밝혔다. 현대차도 인천 지역 내 다양한 수소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소 거래 시스템’ 등 제도 지원
정부는 이 같은 대규모 민간 투자에 대해 각종 제도·인프라 마련으로 지원에 나선다. 우선 정부는 청정수소인증제를 도입, 단계적으로 청정 수소 의무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청정 수소 하역 터미널이나 수소 추출 설비 등 인프라 구축도 지원한다.
액화수소 생산과 유통 지원책도 마련했다. 일반 가스처럼 수소를 액체 상태로 만들어야 대량 유통과 본격적인 상용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제조업 공정 중 부생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 활용을 늘리기 위해 수소생산지원금과 탄소배출권 할당량 조정 등 인센티브 마련에 착수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휘발유 4만 톤을 부생수소로 대체하면 석탄 발전소가 1년 동안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9%가량을 절감하는 효과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공기업들도 올해 분야별 수소 사업에 집중한다. 수소 유통 전담인 한국가스공사는 ‘온라인 수소 거래 시스템’을 올해 수립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기업들이 수소를 대량으로 공동 구매하면 소비자가격 역시 인하될 수 있다. 가스공사는 또 수소 생산자와 수소 충전소 간 운송 거리와 경로·시간 등을 고려한 최적 유통망 연구에도 착수한다. 안전 전담인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수소 용품 안전성 검사에 관한 설비를 2022년까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박한신·조양준 기자 hs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