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경제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성장잠재력’이 낮은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마저 부실하다며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지역별 경제현안 점검 및 대응과제 논의를 위한 광주·전남·전북지역 대상 ‘제2차 지역경제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에서 발표된 전국 6개 권역의 성장잠재력지수(RGPI)에 따르면 호남권은 2015년 최하위인 6위에서 2020년 4위로 올라섰다. RGPI는 지역 내 인적자본, 산업구조 등을 토대로 성장역량을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1을 넘으면 전국 평균 이상의 성장역량을 가졌다고 본다. 호남권의 경우 2015년 0.86에서 2020년 0.95로 개선됐지만 여전히 1미만으로 성장 정체가 우려되고 있다.
호남의 국가경제 기여 수준도 낮아지고 있다. 대한상의가 분석한 지역내총생산(GRDP) 자료를 보면 전체 중 호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9.6%에서 2020년 8.9%로 낮아졌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정부 지원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을 보면 광주·전남·전북 지역 투자금은 18조원으로 전체 227조원의 8.0% 수준이다.
김영수 대한상의 선임연구위원은 “호남권의 성장잠재력 정체는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이 미흡한 탓도 있지만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부 대책이 부족한 면도 작용했다”며 “지역 경제주체들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원과 협업이 반드시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호남권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초광역 단위 협업’을 통한 지역 산업생태계 구축 등 다양한 해법이 논의됐다. 최종만 광주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예비타당성 평가방식으로 인해 지역 인프라 개선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고 있다”며 예비타당성 관련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