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에서 정부는 수요자이자 공급자입니다. 기업에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그에 적합한 정책적 지원을 동시에 제공해야 합니다. 뉴스페이스로 가기 위해 기업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력한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필요합니다.”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담대한 도전-우주에서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서울 광장동 비스타워커힐서울에서 진행되는 ‘서울포럼 2022’이 15일 개막한다. 서울포럼에 참석하는 국내외 석학들은 우리나라가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선결 과제로 정부의 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을 꼽았다.
로버트 주브린 화성협회 회장(파이오니어애스트로노틱스 회장)은 “한국이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주연구, 행성 탐사, 국가 안보, 민간 스타트업 지원 등을 총괄하는 정부 차원의 우주기관 설립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주항공 산업을 책임질 기술관료(테크노크라트) 양성도 주문했다. 한국인 최초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최상혁 나사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우주과학기술 분야에는 기술관료가 많이 포진해 있어야 한다”며 “준비되지 않은 사람들이 우주과학기술 행정 운영 분야에 있다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최정열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현실적으로 민간 영역에서 인공위성을 사는 것은 쉽지 않다”며 “정부가 수요자로서 언제까지 어떤 기술의 인공위성이 얼마만큼 필요한지 제시해 기업이 개발에 참여하도록 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잘되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면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세우고 그에 맞는 인력을 확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방효충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우주개발의 역사가 30년 정도로 짧다 보니 기술 편중도 심한 편”이라며 “이제는 글로벌 관점에서 우주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준으로 청사진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민간 영역의 우주개발을 이끌 인재를 육성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병진 쎄트렉아이 이사회 의장은 “정부가 기업에 충분한 이익을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면 젊은 인재들도 기대 수준에 맞는 임금을 받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돼 우주산업으로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