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라이선스 공룡' 어도비도 받아들인 MZ세대 '피그마' 철학 [정혜진의 Whynot 실리콘밸리]









‘디자이너에서 디자이너가 아닌 이들을 잇다’

최근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에 나타나고 있는 큰 변화입니다. 전문 창작자들이 쓰는 툴로 인식됐던 어도비의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를 비롯해 어도비의 제품들이 친근하게 이용자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창작자 협업툴 ‘피그마(Figma)’를 무려 200억 달러(약 28조원)에 인수하겠다고 통 큰 베팅을 한 어도비가 피그마의 철학을 어도비 제품에도 녹여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지난 달 18~2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씨어터에서 열린 ‘어도비 맥스 2022’에서 소개된 많은 기능 중에 이 같은 철학을 담은 기능이 '쉐어 포 리뷰' 기능입니다. 영상은 사실 창작자 혼자의 작업물로 끝나지 않고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피드백을 거쳐서 완성되는 엄연한 협업물인데요. 하지만 기존에는 협업 과정이 매끄럽지 못했습니다. 편집자 입장에서는 이미 편집을 하면서 수백번 이상 본 파일 전체를 이해당사자가 올 때마다 다시 보면서 피드백을 받아 적고 이를 반영하는 것 또한 영상 편집 만큼 큰 시간과 노력이 쓰였습니다. 이랬던 길고 지난한 과정을 동료에게 파일과 리소스를 통째로 전송하지 않고도 리뷰용 링크를 보내주면 받은 사람들이 피드백을 달고 좌표를 찍을 수 있게한 게 어도비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이를 테면 파일 3분20초쯤에 있는 인물 등장 부분이 튄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피드백을 남기면 해당 부분에 좌표가 띄워지고 이 의견을 남긴 사람의 얼굴 아이콘이 뜨는 건데요. 그러면 바로 그 지점에 들어가서 작업을 한 뒤 완료를 누르면 일이 되도록 했습니다. 영상 편집이나 사진 보정 작업, 3D 모델링 작업까지 구글 문서처럼 쉽게 협업이 가능하게 만든 셈인데요. 스콧 벨스키 어도비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작업자의 등 뒤에서 모든 사람들이 이를 지켜보던 관행이 사라지고 원격으로도 업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이 같은 기능이 만들어올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로스앤젤레스=정혜진 특파원


작은 기능 하나의 변화 같지만 크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습니다. 2012년 서비스를 시작한 피그마는 디자이너가 아닌 이들이 디자이너와 소통을 하기에 무엇보다 쉬운 툴을 만들어냈다는 점이 주목을 끌었습니다. 이어 지난해 내놓은 화이트보드 협업툴 피그잼으로 그 진가를 증명했는데요. 시안을 그대로 피그잼에 옮겨올 수 있어서 이를 가지고 피드백과 소통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또 하나의 강점은 피그마 커뮤니티로, 이곳에는 이용자들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플로우 차트, 브레인스토밍 등의 템플릿 등 2차 창작물을 활발하게 공유하는 게 특징입니다. 이를 활용해 디자이너가 아닌 이들도 디자이너와 같은 선상에서 소통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존에 어도비에서 약했던 부분을 해결한 것이죠. 사실 이번 행사에서도 어도비가 앞으로의 비전으로 강조한 게 협력적 창의성(Collaborative Creativity)인데요. 결국 여럿이 함께 창작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피드백과 이를 반영하는 게 또 소통을 쉽게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잖아요. 피그마에 툴에 그치지 않고 피그마의 이 같은 철학을 어도비의 것으로 받아들이겠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어도비는 올 3분기 44억 3000만 달러의 매출을 내고 순이익은 11억3000만 달러를 기록해 이익률이 25%에 달합니다. 그럼에도 이익률이 30%를 웃돌던 때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누군가에게는 ‘잊혀진 공룡’ 이라는 평가도 받았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서 피그마의 철학을 수용하고 덩치 큰 어도비의 소프트웨어들도 조금 더 새로운 이용자에 맞게 가볍게 진화한다면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또 어도비는 1000만곳의 비영리 기관을 상대로 어도비 익스프레스를 무료로 배포한다고 합니다. 한국도 조만간 배포될 예정입니다. 장벽을 무너뜨린 어도비가 어디까지 이용자층을 확대하고 친근하게 다가갈지 상단의 영상을 통해 살펴봤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