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시기에도 성인 10명 가운데 1명은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는 문제 음주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어리거나 이혼·사별·별거를 경험했거나 소득수준이 낮거나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감을 느낀 사람의 문제 음주 위험이 더 컸다.
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대전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권상일 연구원팀이 코로나19 유행 시기인 2021년 6~8월 대전 거주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수행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음주 상태의 심각도를 판정하는 검사(AUDIT-K)에서 10문항 점수의 합이 남성 10점 이상, 여성 6점 이상이면 문제 음주로 분류했다.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성인 전체의 문제 음주 비율은 10.5%였다. 문제 음주 비율은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다. 젊은 층(18~34세)의 문제 음주 비율은 16.2%로, 35~49세(12.6%)·50~64세(7%)·65세 이상(3.9%)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수준별로는 전문대 졸업 이상의 문제 음주 비율(13%)이 중졸 이하(4.6%)보다 높았다. 배우자와 함께 사는 사람의 문제 음주 비율은 7.5%로, 미혼이거나(16.6%) 사별·이혼한 사람(10.9%)보다 낮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코로나-19 시기에 이혼이나 사별을 경험한 사람의 문제 음주 위험도가 배우자가 있는 사람의2.1배가 됐다”며 “기혼자는 배우자로부터 심리적·사회적 지지를 받아 스트레스에 더 잘 대처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술을 마실 위험성이 낮지만, 이혼·사별·별거 등으로 배우자가 없는 사람은 상실감 탓에 문제 음주의 위험이 더 커지게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최저 소득층의 문제 음주 위험도는 최고 소득층의 2.6배였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이 제한적인데, 우리나라같이 술에 관대한 사회에서 음주는 손쉬운 스트레스 해결 방법으로 활용돼 문제 음주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문제 음주는 간 질환·골다공증·심장병 등 질병 발생 위험을 높인다. 공황장애·불안장애 등 정신질환과 대인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 시기의 문제 음주 증가는 이런 폐해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이 연구 결과(코로나19 시기 문제 음주 관련 요인)는 대한보건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실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