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8일 미국 보스턴의 바이오 클러스터를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20여 년 전부터 미국 보스턴과 같은 바이오 클러스터를 만들겠다는 정부의 방침이 지켜졌는지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정 부분 성과를 낸 것은 틀림없지만 소규모 클러스터가 전국에 흩어져 있는 데다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부처가 사업을 중복 추진해 진정한 의미의 클러스터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서울 홍릉, 인천 송도, 충북 오송, 대전 대덕, 경기 판교 등 16개 이상의 바이오 산업단지가 있다. 하지만 클러스터의 핵심인 가치사슬 단계 간 연계는 부족하다.
실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있는 오송에는 대형 병원이 없어 임상 시험 여건이 취약하다. 대덕에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연구개발(R&D) 시설이 집중돼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기업과 병원이 부족하다. 송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등과 중소기업의 연계가 원활하지 않다.
이는 바이오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데다 지방자치단체가 저마다 중앙정부에서 보조금을 받는 수단으로 바이오 클러스터를 내밀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이 올 2월 보스턴판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의지를 밝히자마자 각 지자체가 즉각 관련 계획을 내놓은 게 단적인 예다. 지자체장들은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는 우리 지역에 와야 한다”며 홍보전을 펴고 있다.
제약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계적인 수준의 바이오 기업 하나 없는 우리나라에서 바이오 클러스터만 난무해 숫자로만 보면 결코 미국에 뒤지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