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의약품 제조업을 적극 육성한다. 15조 7000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촉진시키고 세액공제 확대, 인프라 구축 지원 등에 나서 2030년까지 100조 원 규모의 ‘바이오 경제’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 같은 방침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론자 등 다국적 기업들이 공격적인 투자와 인수합병(M&A)으로 몸집을 키우고 있는 데 따른 위기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바이오경제 2.0’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백신뿐만 아니라 바이오의약품 전반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국가 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해 바이오 개발 공정을 표준화·고속화·자동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한국판 ‘바이오메이드’를 설립해 기업들의 투자 위험 또한 최대한 제거하기로 했다.
산업계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대표는 이날 발표를 통해 “CDMO 시장은 상위권 기업들이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 기업들은 M&A와 공격적 증설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중국의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중국 정부 지원에 힘입어 투자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쟁사의 공격적 투자에 맞서 국내 바이오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투자 인센티브 지원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정부는 업계의 이 같은 정책 지원 요청에 기반해 글로벌 2위 수준인 바이오의약품 제조 역량을 2030년까지 1위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올 하반기까지 바이오 소부장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바이오 분야 소부장 특화단지를 지정해 바이오 신소재 산업도 육성한다.
디지털 바이오 혁신 생태계도 조성한다. 내년부터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빅데이터를 개발해 민간에도 공유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총 50건의 기술 융합형 제품화 성공 사례를 창출하겠다는 설명이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민간의 투자를 바탕으로 세계 2위의 제조 역량을 갖췄다”며 “(다만) 민간투자를 제외하면 산업에 대한 지원은 아직 부족하다”고 했다. 이어 이 장관은 “정부는 민간과 함께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초격차’를 확보해 바이오 경제를 확장하고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