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본인의 저서에서 국내 사외이사에 관료 출신이 많아 다양성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 후보자는 본인의 철학과는 달리 최근 수년간 사외이사 활동을 하며 억대 수입을 올린 사실도 드러났다.
18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최 후보자는 2021년 출간한 저서 ‘경제정책 어젠다 2022’에서 “현재 우리나라 사외이사의 구성을 보면 미국과 일본은 다양한 분야의 업계 출신이 다수인 데 반해 우리는 학계·공무원 출신이 많고 전공 분야도 다양하지 않다”고 밝혔다. 최 후보자는 “이사회가 회사와 전체 주주의 이익,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함께 추구하려면 독립성을 넘어 전문성과 다양성이 필요하다”며 “이사회 구성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획일적 이사회는 위험하며 날카로운 질문과 긴장으로 가득한 이사회가 혼란이 아니라 회사를 위한 조기 경보 장치로 기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런 발언과 달리 최 후보자는 2017년 기재부 1차관 퇴임 이후 여러 기업의 사외이사를 역임하며 수억 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최 후보자는 2019년 3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일동홀딩스 사외이사를 지내며 1억 800만 원의 급여를 받았다. 2020년 3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는 신한투자증권 사외이사로 일하며 1억 903만 원의 급여를 받았다. 최 후보자가 2개 기업의 사외이사를 역임하고 받은 급여는 2억 1703만 원가량 된다.
최 후보자는 수년간 재산도 크게 늘었다. 최 후보자가 최근 국회에 신고한 재산은 총 39억 7160만 원이다. 2017년 기재부 차관 자리를 내려놓은 후 2개월이 지나 공개한 재산(17억 9297만 원)보다 21억 7863만 원 많다. 최근 6년 새 재산이 22억 원 가까이 불어난 셈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고위 관료가 퇴직 후 사외이사를 맡는 것이 돌출된 행보는 아니라는 평가도 제기한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올 10월 말 기준 대기업집단 상장사 343곳의 사외이사 1111명 중 20.3%(225명)는 관료 출신이었다. 관료 출신 비중은 검사·판사 등 법조 출신(14.6%·162명)보다 5.7%포인트 높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