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가계 신용이 8조 원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서울 주택 입주 수요가 몰리면서 주택담보대출이 15조 원 이상 늘어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 당국은 올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가계부채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가계 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 신용 잔액은 1886조 40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1878조 3000억 원)보다 0.4%(8조 원) 늘어난 수치다. 가계 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 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를 뜻한다.
가계 신용은 지난해 1분기(-14조 4000억 원) 감소세를 나타낸 후 2분기(8조 2000억 원)와 3분기(17조 원)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4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나타낸 것이다. 가계 신용 중 카드 사용 금액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보면 4분기 말 기준 잔액이 1768조 3000억 원으로 3분기 말(1761조 7000억 원)보다 6조 5000억 원(0.4%) 늘었다. 가계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 15조 2000억 원 늘어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서울 입주 물량이 4분기에 몰렸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지난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 폭(18조 4000억 원)은 전반적 주택 거래 부진 등의 영향으로 2022년(-7조 원)을 제외하면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작았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703조 9000억 원)은 8조 7000억 원 줄어 9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4분기 가계 판매 신용 잔액(118조 1000억 원)은 1조 5000억 원 늘었다. 이는 연말 계절적 요인으로 신용카드 사용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 당국은 가계 신용 증가에 맞춰 이날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가계부채 리스크 점검회의’를 열었다. 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 관계 기관은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하고 있고 하반기 중 주택 시장이 회복될 수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 강화의 필요성에 의견을 모았다. 당국은 이에 개별 은행의 대출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증가 속도가 과도할 경우 자체 관리 방안을 마련하도록 주문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