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어 5년차’ 홍정민은 그동안 우승을 딱 한 번 했다. 그런데 그 우승이 2022년 5월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이다. 매치플레이에서는 1승을 거뒀지만 스트로크 플레이 대회에서는 아직 우승이 없는 것이다. 올해 두산 건설 위브 챔피언십을 포함해 준우승 횟수만 7차례나 된다. 그리고 다시 스트로크 플레이 첫 우승 기회를 제대로 잡았다.
홍정민은 3일 경기도 양주시 레이크우드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크리스에프앤씨 제47회 KLPGA 챔피언십 3라운드에서 7언더파 65타를 쳐 합계 14언더파 202타로 5타차 단독 선두에 나섰다.
홍정민이 압도적 선두에 나섰지만 추격자의 면면 역시 무척 화려하다. 일단 5타 차 단독 2위에 오른 ‘추격자 1호’가 이 대회에서만 2승을 거둔 박현경이다. 2019년부터 이 대회에 출전한 박현경은 6회 동안 누구보다 눈부신 성적을 거뒀다. 첫 출전했던 2019년 공동 12위에 올랐고 2020년과 2021년에는 2년 연속 우승을 거뒀다. 2022년 공동 10위로 선전했고 2023년과 2024년에는 똑같이 공동 19위 성적을 냈다. 6회 동안 한 번도 20위 밖으로 나가지 않았던 대회가 바로 크리스에프앤씨 KLPGA 챔피언십이다. 이날 2타를 줄인 박현경은 합계 9언더파 207타 단독 2위에서 역전 우승에 도전한다.
8언더파 208타 공동 3위 그룹에도 몰아치기에 능한 쟁쟁한 선수들로 채워졌다. 작년 3승씩 거둔 박지영과 마다솜 그리고 최근 드림투어에서 2연승을 거둔 김민솔이 추격의 끈을 죄고 있다. 이들 중 홍정민과 최종일 챔피언 조에서 맞대결을 펼칠 경쟁자는 박현경과 박지영이다.
선두 홍정민과 타수 차이는 많이 나지만 단독 6위(7언더파 209타) 방신실과 공동 7위(6언더파 210타) 황유민의 추격전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두 선수의 장타력이라면 몰아치기 버디 행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금과 대상 포인트 1위에 올라 있는 ‘절정의 샷’ 방신실이 얼마나 뒷심을 발휘할지가 최종일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