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대선을 앞두고 세종시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경매 시장에서도 세종시 아파트는 투자자들의 관심 1순위다. 정치권에서 행정수도 이전 논의에 불이 붙으면서 아파트값을 밀어올리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과거 정치적 이슈로 급등락했던 사례가 있어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4일 한국부동산원 4월 넷째 주(28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상승률은 1주일 새 0.23%에서 0.49%로 2배 넘게 올랐다. 2020년 8월 다섯째 주(0.51%) 이후 4년 8개월만에 최고치다. 세종시는 지난해 9월 넷째 주 보합을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4월 둘째 주(-0.07→0.04%) 상승 전환한 이후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다정·새롬·고운동 등 정부세종청사 주변 선호단지 위주로 오름세다.
최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행정수도·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론을 띄우면서 집값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이재명 전 대표는 경선에서 당선시 용산 대통령실에 들어갔다가 청와대·세종 순으로 집무실을 옮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국민의힘에서도 김문수 후보가 최근 세종시청을 방문해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국회와 대통령집무실을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한동훈 후보는 국회의사당을 세종으로 완전하게 이전하겠다는 입장이다.
세종시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올해 1월 266건에서 3월 687건으로 2.6배 급증했다. 거래 총액도 같은 기간 1252억 원에서 3510억 원으로 2.8배 치솟았다. 지방의 거래량과 거래 총액이 같은 기간 각각 47%, 50% 상승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상승 폭에서 큰 차이가 나타난다. 세종시의 상승세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효과를 본 서울마저 뛰어넘었다. 서울의 3월 거래량과 거래 총액은 각각 7369건과 9조 4947억 원으로 1월 대비 2.3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까지 가격 조정을 거치며 ‘저점 인식’이 확산되면서 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 등 행정수도 관련 기대감이 부가적으로 작용하면서 실거주 및 투자 수요가 일부 회복되는 흐름이라는 평가다.
이러한 분위기는 경매시장에서도 나타난다. 올해 들어 세종시는 주택 경매시장 응찰자 수 1위를 달리며 주목받고 있다. 경공매 데이터 기업 지지옥션 조사에 따르면 세종시는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주거시설 경매 평균 응찰자 수에서 3개월 연속 전국 시도 1위에 올랐다. 세종시 평균 응찰자 수는 1월 11.5명에서 2월 6.9명으로 줄었다가 3월에는 11.5명으로 급증했다. 3월 세종시 주거시설 경매 열기는 전국(5.7명)은 물론 서울(4.7명), 인천(5.9명), 경기(7.6명) 등 수도권보다도 뜨거웠다.
세종시는 3월 토지 경매에서도 낙찰가율과 평균 응찰자 수 1위를 차지했다. 3월 낙찰가율은 2월(36.6%) 대비 19.0%포인트 상승한 55.6%를 기록했고, 평균 응찰자 수도 같은 기간 1.7명에서 3.0명으로 1.3명 증가했다.
응찰자들이 몰리면서 올해 1월 78.6%까지 떨어졌던 세종시 아파트 낙찰가율은 2월 85.1%, 3월 89.0%로 뛰었다. 한 차례 유찰된 세종정부청사 인근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많은 응찰자가 몰리면서 평균 경쟁률이 상승했다는 평가다. 3월 낙찰된 아파트 가운데 도담동 632 도램마을 13단지 아파트(감정가 4억 800만 원)에는 34명의 응찰자가 참여해 3억 5386만 원에 낙찰됐다.
일각에서는 2020년에도 이전 기대감에 급등했다가 급락했던 사례가 있는 만큼 이전 기대감만으로 투자하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실제 이전이 이뤄질지는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 랩장은 “과거처럼 급격한 상승세로 전환되기보다는 저점을 통과한 이후 점진적인 반등 국면에 가까운 양상”이라며 “지속적인 상승세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행정기능의 실질적 이전과 교통·생활 인프라의 안정적 구축 등 실체적 기반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