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진행되는 미·중 무역협상을 앞두고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방향을 잡지 못해 혼조로 마감했다. 일각에서는 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협상이 결렬되는 것에 대한 경계심도 흘러나왔기 때문이다.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19.07포인트(0.29%) 하락한 41,249.38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03포인트(0.07%) 떨어진 5,659.91을 기록했다.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0.78포인트(0.00%) 오른 17,928.92에 장을 마쳤다.
미국과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45%라는 ‘관세 폭탄’을 메긴 후 처음으로 이번 주말 스위스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을 갖는다. 전문가 대부분은 이번이 첫 협상인 만큼 뚜렷한 성과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이 고율 관세를 낮추자는 방향성을 잡기만 한다면 해빙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는 낙관론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SNS 계정에 “중국에 80%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는 글을 남겨 기대감을 식게 했다. 관세가 하락한다고 해도 여전히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율이 60% 수준까지 내려올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긴장감은 시장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첫 협상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고 트럼프 대통령이 어떻게 반응할 지 확실하지 않아 증시도 경계감에 좁은 등락폭을 나타냈다. 잠시 오름폭을 늘리다가도 곧바로 하락세로 접어드는 등 보합권에서 움직였다.
이날 오후 백악관은 중국에 대해 일방적인 관세 인하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은 여전히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중국의 양보를 촉구했다.
네이션와이드의 마크 해킷 수석 시장 전략가는 "이번 주 진척이 있었지만 여전히 뉴스 사이클의 기복 속에 있고 이는 시장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뚜렷한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횡보 국면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주요 인사들도 대거 공개 발언을 이어갔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중앙은행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일수록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를 잘 고정시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 인지해야 한다”며 기대 인플레이션을 정책 목표치에 가까운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연초에 나온 예상보다는 회복력이 약할 것”이라고 전했다. 마이클 바 연준 이사는 "관세로 인해 올해 말부터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미국과 해외 경제 모두 성장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놨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현재 고용시장이 여전히 탄탄하다며 "일부 모델의 자연실업률 추정치가 4.2%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용시장은 최대 고용 수준에 근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날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 이상 오르며 상승세를 보여줬다. 반면 의료건강은 1% 이상 하락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칭하는 '매그니피센트7' 중에서는 테슬라가 5% 이상 오르면서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고 나머지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자사주 매입 확대 계획을 발표한 차량 호출 서비스 기업 리프트는 28% 급등했다. 소셜미디어 서비스 핀터레스트는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한데 이어 2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예상치를 상회하며 5% 가량 올랐다. 반면 여행 예약 플랫폼 익스피디아는 1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7% 이상 떨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82.8%로 반영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8포인트(2.58%) 내려간 21.90에 마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