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는 오피스텔의 공급 감소세가 계속되면서 내년에는 올해의 3분의 1 수준까지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투자 수요가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오피스텔 공급 부족이 이어질 경우 아파트 전월세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부동산 데이터 분석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도 오피스텔 입주 예정 물량은 1만 1994실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의 입주 예정 물량(3만 3461실)보다 64.1% 줄어든 규모로, 최근 10년래 가장 입주 물량이 많았던 2019년(11만 211실) 대비 10분의 1 수준이다.
연도별로 전국 오피스텔 입주는 △2019년 11만 211실에서 △2020년 9만 7732실 △2021년 7만 7726실 △2022년 5만 4418실 △2023년 5만 6457실 △2024년 3만 3839실 등으로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내년도 서울의 오피스텔 입주 물량은 1417실로 올해(4456실)보다 68.2%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 외 지역의 감소 폭은 더 크다. 인천은 1860실로 지난해(8084실)의 77.0%에 불과하다. 경기는 올해 1만 3420실에서 내년 4503실로 66.4% 감소할 전망이다. 광주는 내년 입주 예정 물량이 없고 대전도 60실로 지난해(1332실)의 95.5%에 그친다. 경남도 올해 629실에서 내년에 44실로 93.0% 줄어든다. 강원·경북·충북 등도 내년도 입주 물량이 없다.
오피스텔 입주 감소는 최근 수년째 지속되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관련돼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오피스텔 매수 수요층은 실거주보다 투자 목적이 큰 만큼 시장이 침체하면 투자 수요가 더 먼저 위축되기 때문이다. 이경자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오피스텔과 같은 비아파트의 공급 여건이 개선돼야 공급 부족발 아파트 매매가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