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총 7개 지역을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분산특구)으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분산특구 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분산특구 지정을 신청한 11개 지역 중 제주, 부산, 경기, 경북, 울산, 충남, 전남 등 총 7개 지역을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 분산특구는 해당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 내 전기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허용한 제도로 이 경우 보다 싼 값에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부는 분산특구 유형을 신산업 활성화형과 수요 유치형 두 개로 나눠 6월 중 분산특구를 최종 지정할 방침이다.
신산업 활성화형 후보지는 제주, 부산, 경기, 경북 등 4곳이다.
제주의 경우 분산특구 지정 시 전기차를 배터리저장장치(ESS)처럼 충·방전해 전력 시장에 참여하는 V2G(Vehicle to Grid) 사업을 실증할 계획이다. 전력 도매가인 계통한계가격(SMP)이 낮을 때 전기차를 충전하고 높을 때 방전해 계통 안정화에 기여하고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도 도모한다는 것이다.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예정인 부산 강서구도 후보지에 올랐다. 부산은 국내 최초로 최대 600메가와트시(MWh) 규모 ESS 팜(farm)을 조성해 데이터센터와 부산항만 선박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경기 의왕시는 ESS를 활용한 전력을 인근 전기차 충전소에, 경북 포항시는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엔진 발전 설비로 생산된 무탄소 저력을 영일만 산업단지 내 이차전지 기업들에 공급하는 방안을 실증한다.
수요유치형에는 울산, 충남, 전남 등 3곳이 후보지로 선정됐다. 대산 석유화학 단지가 있는 충남의 경우 지역 발전사가 전력 직접 거래를 통해 인근 산단 기업들에 전기를 공급하면 기업들의 전기 요금 부담이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인 계통 포화 지역인 전남의 경우 해남 솔라시도의 대규모 태양광 단지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 내 에너지 생산 및 소비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분산특구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도록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추가 대책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