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을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2028년 개교 예정인 일부 신설 학교에 시범 적용될 이 모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유연한 철골 유닛 구조를 결합한 복합형으로 설계한다. 학생 수 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것이 도교육청의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내구성이 필요한 필수 학습 공간(일반교실, 특별교실, 체육관, 식당 등)을 담당하고, 철골 유닛 구조는 18학급 규모의 창의융합형 학습 공간으로 구성한다.
학급 수 변화에 따라 철골 유닛을 철거하거나 수요가 필요한 학교로 재배치할 수 있는 탄력적 구조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순히 공간만 늘리고 줄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학급 수가 줄어 철골 유닛을 철거하면 이후 남는 부지는 소공연장, 광장형 공간, 휴게 공간, 학교 숲, 야외 수업 공간 등 지역사회와 함께 누릴 수 있는 복합 소통 공간인 ‘마을 품은 학교 광장’으로 재탄생한다. 공사 기간이 기존 철근콘크리트 방식보다 약 1.5개월 단축되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도교육청은 교육수요 변화에 따라 공간을 순환·재활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생애주기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 효과역시 기대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시범 적용할 9가지 배치 유형을 함께 개발, 각 학교 부지 여건에 따라 최적의 설계를 적용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