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을 겨냥한 초강경 관세 정책을 예고했다. 연간 2500억 달러(약 3438억 원)에 달하는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압박 카드로 풀이된다.
23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6월 1일부터 EU에 일률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미국 내에서 생산 또는 제조된 제품은 면제 대상이라고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와의 무역협상이 진전 없다"며 "EU의 강력한 무역장벽과 부가세, 통화조작 등으로 연간 무역적자가 2500억 달러를 넘었다"고 명시했다. 특히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하려 결성된 EU는 매우 다루기 힘든 상대"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현재 미-EU 관세협상은 교착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양측이 관세 유예 협상문서를 교환했지만 성과는 미미하다. 미국이 EU의 일방적 관세철폐를 요구하는 반면 EU는 상호 관세인하를 제안해 입장차가 크다.
미국은 이달 초 EU에 20% 상호관세를 책정했으나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서는 기본관세 10%를 제외한 나머지 관세를 90일간 유예했다. 이에 따라 7월 초까지는 EU에도 기본관세만 적용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최악의 시나리오 방지를 위해 노력 중이지만 미국이 10% 기본관세를 협상 하한선으로 못박아둔 상황이다. 다수 EU 회원국들은 미국이 기본관세를 고수할 경우 강력한 보복 조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무역갈등이 격화될 조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