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무주국유림관리소와 구상나무 현지외 보존원 조성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 결과 구상나무 묘목 생존율이 96%라는 성과를 거두며 초기활착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구상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고산지대에만 자생하는 특산수종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생지 쇠퇴가 가속화되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과 과학적인 연구가 요구돼 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22년 무주군 일대에 1591그루 규모의 현지외 보존원을 조성했고 모든 구상나무 묘목의 DNA를 분석해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를 멀리 배치하는 ‘DNA 최적 배치 방식’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유전다양성을 극대화하고 향후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건강한 구상나무 종자를 생산이 가능한 복원재료 공급기지로서의 기반을 마련했다.
3년에 걸친 지속적인 모니터링 결과, 현지외 보존지의 구상나무는 초기 활착에 성공해 생존율 96%를 기록했고 특히 3년차에는 1년차에 비해 생장량이 10배 증가하는 등 성공적인 생육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적합한 입지 선정, 건강한 묘목 사용, 그리고 체계적인 관리가 뒷받침된 결과로 분석된다.
국립산림과학원 고산침엽수 유전다양성복원연구센터 임효인 박사는 “무주군 현지외 보존원이 미래 기후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인 복원재료 공급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늘 개최한 현장설명회 등 지속적인 기관간 협력을 통해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