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는 사회문제 해결에 필요한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하는 존재입니다.”
김아영 작가는 28일 개막한 ‘제10차 문화예술세계총회’에 앞서 전날 서울 동대문구 노보텔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사전 기자간담회서 다중 위기 시대를 맞아 예술의 역할에 대해 “예술이 사회문제의 해결책을 직접 제시할 수는 없으며 예술가는 주어진 것들에 반응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은 존재”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작가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LG 구겐하임 어워드’를 수상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오스트리아의 예술·기술 융합 기관 ‘아르스일렉트로니카’의 게어프리트 슈토커 예술감독과 함께 이번 총회에서 ‘전 지구적 다중 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문화예술의 미래 구상’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김 작가는 “30∼40년 전 공상과학 소설가들이 상상한 것들이 지금에 와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거나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예술가는 그러한 방식으로 선지자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작가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인간을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는 “인간과 AI가 협업하더라도 예술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결국 인간의 노동”이라며 “언젠가는 판도가 바뀔 수 있겠지만 당분간은 AI가 예술의 가치를 만드는 역할까지 인간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기술에 대해서는 비관주의나 낙관주의 모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기술은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주조가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기술 문해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처음 열리는 문화예술세계총회는 세계 문화예술 분야 석학, 정책 입안자, 연구원들이 모여 각국 문화예술 기관의 정책 연구를 교류하고 문화예술 생태계 의제를 논의하는 행사다. ‘문화예술의 미래 구상’을 주제로 열리는 올해 총회에는 영국예술위원회를 비롯해 전 세계 80여 개국 문화부 관계자, 예술위원회 및 문화예술 기관 대표, 정책 전문가, 예술가, 연구자 400여 명이 참석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