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는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영국 런던에서 주요 대학 관계자와 테크 분야 인적자원(HR) 전문가 10명을 초청해 첨단산업 인재 발굴·유치 및 한국 진출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해외 인재 유치 제도를 홍보하고 한-영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킹스칼리지 런던 등 주요 대학 커리어센터 관계자와 글로벌 HR 컨설팅 및 채용기업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올해 2월 개소한 KOTRA 해외인재유치센터와 함께 신규 제도인 ‘K-테크 패스(K-Tech Pass)’를 소개했다. 이 제도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의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하고 국내 정착을 지원하는 정부의 통합 지원 프로그램이다. K-테크 패스를 중심으로 영국 현지 인재 생태계와의 실질적인 연계 방안 역시 논의했다.
영국은 인공지능(AI)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 3위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세계 50위권 내 첨단 분야 우수 대학교가 다수 소재한 국가다. 특히 매년 졸업생 중 40% 이상이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 전공자로 한국 반도체·바이오·AI 기업들이 주목하는 인재 풀로 평가받고 있다.
글로벌 인재 컨설팅 기업 알디아이(RDI)의 대표이사 고든 더들리는 “한국의 K-테크 패스는 영국의 고급 인재들에게 매력적인 ‘패스트트랙’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아라니 마노하란 킹스칼리지 런던 커리어센터 총괄은 “첨단산업 분야의 영국 졸업생들이 한국의 혁신 기업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기대를 전했다.
김현철 KOTRA 유럽지역본부장은 “K-테크 패스는 기술 역량을 갖춘 해외 인재가 2주 이내에 비자를 받을 수 있는 한국행 패스트트랙으로 첨단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이라며 “영국의 우수 인재와 채용·컨설팅 생태계가 한국 첨단산업과 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