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됐다. 3국 장관들은 북한 문제 등 역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의지를 확인했다.
11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미일이 이날 오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3자 외교장관회의를 열었다. 박윤주 1차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참석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절차가 끝나지 않아 차관이 대리 참석하게 되면서 미일 등과의 양자 회담이 쉽지 않았는데, 3자 회동이 열린 것은 그만큼 미일이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높게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박 차관이 외교부 장관을 대신해 아세안 회의에 참석하고 있기 때문에 명칭은 3국 외교장관회의가 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회담에서 한미일은 3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한반도를 포함한 지역 정세 및 글로벌 현안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고 말했다. 한미일 3국은 △한반도 및 지역 정세 △한미일 3국 간 경제협력 증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우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가 확고함을 재확인하고, 3국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북 억제를 유지하며 한미일 안보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박 차관은 남북 간 긴장 완화와 대화 재개를 위한 우리의 노력을 설명하고 미일 측과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아울러 3국은 역내 정세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를 위해 노력해나가기로 했다. 또 에너지와 조선 등 분야에서 협력 강화는 물론 핵심 광물 등을 포함한 공급망 안정과 인공지능(AI) 등 핵심·신흥 기술 분야에서의 협력도 심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는 4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데 이어 약 3개월 만에 열린 것으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로는 처음이다.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는 2023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