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이후 빠르게 치솟으며 ‘가장 뜨거운 지주사’로 꼽혔던 SK스퀘어가 하루 만에 급락세를 기록했다. 주가가 단기간 세 배 가까이 오르며 고수익 사례가 회자됐지만 대규모 블록딜 공시가 투자심리에 찬물을 끼얹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1일 SK스퀘어는 전 거래일 대비 9600원(5.23%) 하락한 17만 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이 267억 9772만 원어치를 순매도하며 낙폭을 키웠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151억 3748만 원, 117억 8645만 원을 순매수했다.
SK스퀘어는 2021년 SK텔레콤에서 인적분할해 상장된 이후 저평가 상태가 지속됐고 2023년까지 3만 원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2024년 들어 자사주 소각, SK하이닉스 호실적, 밸류업 정책 등이 반영되면서 주가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연초 6만 원대였던 주가는 이달 초 장중 20만 원을 돌파하며 3배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날 하락은 카카오인베스트먼트의 대규모 지분 매각 공시가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카카오의 투자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SK스퀘어 주식 248만 6612주(4296억 8655만 원)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한다고 이날 공시했다. 매각 배경에 대해 회사 측은 인공지능(AI) 등 미래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규모 블록딜은 시장에 ‘고점 시그널’로 인식될 수 있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 이날 주가는 장 초반부터 약세 흐름을 보였고 장 마감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그러나 증권가는 SK스퀘어의 중장기적 전망에는 긍정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증권은 이날 SK스퀘어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13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69.23% 상향 조정했다.
김한이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현 순자산가치(NAV)의 증가와 기업가치 제고 노력에 따른 할인율 축소가 이어지고 있다”며 “SK스퀘어 역시 지주사 재평가(re-rating) 흐름에 동참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SK스퀘어의 현재 NAV 대비 할인율은 약 50.3%로 회사가 2027년까지 달성 목표로 제시한 50% 수준을 조기에 달성한 셈이다.
김 연구원은 “올해 11월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발표 이전에는 할인율이 68%에 달했으나 3월 말 63%로 줄었고 현재 50%까지 축소됐다”며 “이는 저평가 해소에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SK스퀘어는 주주환원 확대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주회사”라며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는 주가 재평가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